•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70년대 이후 分院 官窯 변천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nsition Period of the Joseon Royal Kiln(1870~1910))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6
26P 미리보기
1870년대 이후 分院 官窯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9호 / 103 ~ 128페이지
    · 저자명 : 방병선

    초록

    본 논문은 1870년대부터 1910년까지 조선시대 왕실용 자기 생산을 담당했던 사옹원 분원의 변천 과정과 원인, 이와 관련된 장인과 관리, 제작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대상 문헌은 『分院邊首復設節目』(1874)과 『分院各項文簿抄錄』(1873-76), 『分院磁器貢所節目』(1894)과 같은 분원 관련 문헌과 『조선왕조실록』과 내장원『完文』과 같은 관찬사료, 지규식의 『荷齋日記』(1891-1910)와 같은 민간자료 등으로, 시기는 고종 연간인 1870년대부터 1910년까지로 하였다. 먼저 1870년대 분원은 여러 가지 적폐가 노정되어 제대로 된 자기진상이 어려웠다. 16명에서 24명에 이르는 원역들과 복설과 폐설을 거듭한 두 명의 변수들은 자본을 모으고 이를 통해 이익을 챙기려 하면서 서로간의 갈등으로 분원의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었다. 이에 조정에서는 변수를 파하였다가 1874년 변수복설의 조치를 내리고 낭청과 원역, 변수의 협업 체제를 지원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복설이 된 이후도 분원의 병폐는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한편 장인들은 분원응역에 응하지 않는 수가 누적되어 타지역의 장인을 불러오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장인들의 경제적 보상을 위한 사번 자기의 판매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이익을 얻기 어려웠다. 반면 퇴임한 분원 관리들은 設店하여 판매에서 여러 이득을 취하고 있었다. 1880년대 들어 왕실재정의 축소와 재정 운용의 합리화에 따라 1883년 낭관 파견금지와 허민번조를 중심 내용으로 하는 감생청의 공안이 발표되었다. 이어 원역 가운데 공인 12인을 지정하여 자기를 진상토록 하는 내용의 『分院磁器貢所節目』이 1884년 공표되면서 분원은 분원공소로 탈바꿈하였다. 이후 지규식의 『荷齋日記』에 따르면 분원공소(1884-1895)는 정부의 원료 공급과 일부 재정 부담에도 불구하고 진상과 판매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새로운 기술 개발의 부재와 경영 실패로 문을 닫았고 이후 번자회사(1896-1905), 번사회사(1906-1910), 자기회사(1910) 등과 같은 회사체제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이 역시 정교한 디자인과 대량생산을 위한 철저한 분업화와 기술 혁신, 학교 교육을 통한 근대식 기술자 양성, 금융지원 등이 거의 전무하거나 미진하여 결국 근대화된 회사로 성공하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반면 일본인들은 채기 제작과 청화 안료 유통을 장악하며 조선 자기 시장의 상당 부분을 잠식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Joseon royal kiln from 1870 to 1910. Some of the major issues are as follows: the cause of the change, the activity of potters and officers, production and technique. I have analysed several public and private documents, such as The Reinstatement of the Kiln Master of the Royal Kiln(分院邊首復設節目, 1874), The Abstract of Provision Document of the Royal Kiln(分院各項文簿抄錄, 1873-76), The Regulation of Tribute System of the Royal Kiln(分院磁器貢所節目, 1894), other government compilation of the royal kiln and the Diary of Ji Kyusik(荷齋日記, 1891-1910). In 1870s, due to the inner corruption, the royal kiln failed to pay the tribute. There were 16 to 24 officers stationed at the royal kiln. The officers and the royal kiln masters made efforts to make profits from the porcelain production and sales, however the continuous corruptions and inner conflicts deteriorated the situation. Thus in 1874, the kiln master, who had been dismissed for neglecting his duties of the tribute, was reinstated in the service. But it failed.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potters continued to drop out and the government officers had to reemploy potters for substitute. The private sale of public potters was highly restricted and less profitable. In the meantime, retired officers from the royal kiln opened the ceramic shops and started to make profits. From 1880s, the government reduced budget of royal kiln and banned dispatching officers in 1883. Futhermore, The Regulation of Tribute System of the Royal Kiln was enacted in 1884 and appointed 12 officers in charge of tribute system. Thus, the royal kiln was designated as the Bunwon tribute office. According to the Diary of Ji Kyusik, the tribute office(1884-1895) closed down because of the financial difficulty. Later it was run by the Beonja company(1896-1905), the Beonsa company(1906-1910) and the Porcelain company(1910). However it failed to make regular tributes and profitable sales. Lack of innovative ideas in design, mass production technology, training school for potters and financial support were inevitable to the consequence. On the other hand, Japanese merchants cornered the Joseon market in porcelain with overglazed wares and sales of cobalt pigmen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