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9년 군산 금강사 범종 조성 (A Study On The Construct of GunSan(群山) GumGangSa(錦江寺)’s Bell in 1919)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05
33P 미리보기
1919년 군산 금강사 범종 조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교육 / 32호 / 95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두헌

    초록

    군산 금강사 범종 조성일은 삼일운동 발생 5개월여 만인 그해 8월 10일이었다. 군산의 삼일운동은 호남 최초의 만세 운동이었다. 삼일운동 당시 군산의 한국인들은 일본인들에게 강한 분노를 행동으로 표현하였다. 일본인들은 이를 불안해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었다. 범종 조성일 이전의 시기에 군산의 삼일운동 피검자들에 대한 재판은 대부분 완료되었다. 따라서 당시 군산 지역 한국인 사회는 좌절의 분위기였고, 일본인 사회는 안도 속에 일제의 평화와 번영을 염원하고 있었다. 금강사 범종 조성은 이렇듯 극명하게 대립된 군산 지역 일본인 사회와 한국인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졌다. 범종 조성 목적은 군산 지역 일본인들이 제1차 세계대전을 마치고 평화의 시대를 맞이한 것을 자축하며, 일본 천황의 통치가 영원하고, 일본의 조선 식민지 통치가 견고해지기를 염원하기 위해서였다. 금강사 범종 형태는 일본 범종 형태의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다. 범종의 용뉴는 쌍룡 형태, 몸통은 직사격형으로 가로 세 부분, 세로 네 부분으로 각각 나누어져 있다. 가로 윗부분에 종유가 표현되어 있고, 중간 부분에 명문이 음각되었다. 명문에는 범종 조성 목적, 발기인 7명을 포함한 140명의 시주자의 시주액과 성명, 범종 주조자의 거주지와 성명 등이 음각되어 있다. 범종 주조자 다카하시 사이지로는 어렸을 때 가난하여 고향 경도에서 불구점 사원으로 있다가, 20세 때 불구점을 개업하고 근검절약하며 사업을 확장시켜 나가, 마침내 48세 때에 주조 공장을 설립하였고, 70세 때에는 경도의 다액 납세자가 되었다. 그가, 그리고 그의 사후 그가 남긴 상점에서 만든 범종들이 일본에서 5개, 한국에서 3개가 각각 현전한다. 이들 범종 형태 역시 일본 범종 형태의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다. 금강사 범종 조성 발기인 7명은 농장 지주, 미곡상, 무역업자 등 군산에서 쌀을 일본으로 이출하는 관련 사업 종사자들이었다. 시주자 140명 중에는 금강사 신도뿐만 아니라, 군산 지역 내 다른 사찰 신도, 비불교 신도 등이 상당수 있었고, 1928년 군산의 인물 46명 중에 26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에 한국인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이는 금강사 범종 조성 행사가 금강사만이 아닌 군산 지역 일본인들의 불교 행사였다는 것을, 그러나 한국인은 제외시켰다는 것을, 당시 금강사가 일본인들에 의해서만 운영되었다는 것을, 군산의 일본인들은 불교계에서조차 서로 연대하고 협력하였지만 한국인들은 차별하였다는 것을 각각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GunSan GumGangSa’s Bell was built in August of that year, five month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Immediate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of GunSan, the first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Jeolla-do(全羅道), the Korean society in GunSan was overwhelmed by the atmosphere of rage and frustration, the Japanese society was praying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about them and Japanese imperialism, as they were relieved to build the bell. The construction of the bell took place in the atmosphere of between the Japanese society and the Korean society in GunSan, where there was a sharp conflict.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bell was to congratulate the Japanese in GunSan at the time that World War I had ended and reached the era of peace. It was also to wish that the Japanese emperor's rule would be permanent, Japanese imperialism would be strengthened, and Japan's colonial rule over Joseon(朝鮮) would be stronger. The bell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Japanese temple’s bell in its shape and form. The bell’s YongNue(龍鈕) is a twin dragon shape, and the whole body is composed of right angles, and i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horizontally and four parts vertically. The upper part of the bell’s torso is expressed with ChongYou(鐘乳), and the milddle part is inscribed with the inscription. The inscription is carved on the bell’s building purpose and the names and contribution amount of the 140 donors including 7 promoters, and the residence and name of the founder in the three sides. The bell’s founder, DaKaHaSiSeiJiRo(高橋才治郞) was very poor when he was a child, and he worked at a Buddhist tools shop(佛具店) run by another person in his hometown of Kyoto(京都), he opened his own Buddhist tools shop, after leading a diligent and saving life and expanded his business. He finally founded a casting factory at the age of 48, and succeeded as one of the largest taxpayers in Kyoto city at the age of 70. The bells he and his company after his death had made now remain five in Japan and three in Korea. Of the previous eight, he made six in his lifetime. The promoters were landowners, rice dealers, and traders related in moving rice from GunSan to Japan. Among the 140 donors, there were those who were not GunSan Geumgangsa’s Buddhists, other temples’s Buddhists in the Gunsan area, and 26 out of 46 famous figures in GunSan in 1928. The event to build the bell was not only the GunSan GumGangSa but also many Buddhist’s event in GunSan. However, none of the donors were Korean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event of the construction of the bell was conducted only by Japanese in Gunsan, and even in the Gunsan Buddhist community, Japanese solidified or cooperated with each other, but Koreans discrimin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