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동시의 형식 실험 (The Experimental Form of Poetry for Children in 196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06
29P 미리보기
1960년대 동시의 형식 실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28호 / 85 ~ 113페이지
    · 저자명 : 김유진

    초록

    이 연구는 1960년대 동시의 형식 실험을 분석하고, 이러한 형식 실험이 추구한 동시의 현대성과 미학성의 성격을 고찰하고자 했다. 1960년대 동시의 형식 실험을 대표할 수 있는 조유로와 이석현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들의 창작이 개인의 창작론과 창작 지향에 따른 면밀한 실천임을 살펴보면서, 이것이 오늘날 동시 장르에 여전히 유효한 질문과 모색임을 분석했다. 현재 동시 장르의 새로운 형식에 대한 모색은 ‘어린이 독자’라는 아동문학 장르의 대명제 아래서 실험과 전위의 범주가 상당 부분 제한적으로 규정되며 되풀이되고 있다. 따라서 동시의 형식 실험이 가장 전위적이고 광범위하게 일어났던 1960년대의 창작 양상과 의미를 밝히는 일은 단지 특정 시대나 특정 작가의 개별 창작 시도를 문학사적으로 복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2000년대 후반부터 다시 활발해진 오늘날 동시의 창작 실험에 대한 모색과 연결되며 확장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1960s, several children’s poets introduced various forms in their works the most in the history of children’s poetry in South Korea. Of those, Joe Yoo-ro is incomparable. He tried various forms in his six children's poetry books published in the 1960s. Also, he clarified the underlying philosophy and purpose in the preamble of each book. Therefore, the meaning of his works can be better understood when linked to his purpose and philosophy about creation. The narrative poems of Lee Suk Hyun are also noteworthy. Lee Suk-hyun coined his second poetry book <House of echoes> (St. Paul Publisher), published in 1966, ‘a book of the narrative poems’. Lee Suk Hyun is the representative poet of creating the narrative poems in the 1960s. He also had a clear purpose of the narrative poems as a form experiment. According to the magazines and critics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ose days, he took the creation of narrative poems very seriously in the area of the form experiment in children’s poetry, by participating in the discourse of the narrative poems or encouraging other poets such as Park Kyung-yong to create such poems. Therefore, his narrative poems should be also analyzed considering his philosophy about creation. Because the form experiment in children’s poetry has been limitedly repeated under the assumption of ‘children as readers’, the form experiment in the 1960s still contributes to the current creation practices. The examination of the creation trend and its meaning in the 1960s, the era when the form experiment in the children’s poetry was the most radical and extensive, is not just limited to a cultural and historical restoration of a specific era or a specific poet’s individual try of creation. This is related to and expands through the pursuit of the creation experiment in children’s poetry that has been revived since the late 200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청소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