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신동엽과 호서문단 (Shin Dong-yeop and Hoseo literary circles in the 196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3.02
19P 미리보기
1960년대 신동엽과 호서문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7권 / 1호 / 35 ~ 53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초록

    본고는 신동엽과 대전·충남으로 대표되는 호서출신 문인들과의 교유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신동엽과 고향 문인 또는 대전·충남지역을 상징하는 호서문단과의 관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거의 없다. 이는 유년시절을 고향에서 보낸 그가 전주사범학교를 다닌 이후 결혼 및 직장생활과 문학활동이 주로 서울에서 이루어졌다는것에 초점을 맞춘 데서 나온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행적과 문학적 흔적을면밀하게 검토한 결과 호서지역 문인들과 긴밀하게 교류하고 있었고, 호서 출신문인들의 시집에 수록된 그의 두 편의 글도 발견할 수 있었다. 1959년 그의 고향충남 부여에 소재한 부소문학회에서 발간된 부소(扶蘇)에 ‘신석림(申石林)’이 회원으로 수록된 점, 이진석의 첫 시집 강마을(1968) 서문과 홍희표의 첫 시집 어군(魚群)의 지름길(1968) 발문등이 그것이다. 또한 충남문학 6집(1970)에 실린이석호의 「신동엽의 인간과 문학」이라는 글에서도 임종을 앞둔 신동엽의 모습을엿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신동엽과 호서지역 출신 문인들과의 교유관계를 구체적으로 읽을 수 있다.
    신동엽은 충청도 시인들의 시에서 백제 문화의 우수성과 백제 정신을 발견하고자 하였고, 그들을 통해 ‘역사적인 비극성’을 뛰어넘어 ‘초시대 초시간’적인 백제정신을 계승하고자 하였다. 이는 곧 “오늘의 강산을 헤매면서 오늘의 내면을 직관” 하는, 치열한 삶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몸소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1960년대 신동엽은 김수영과 더불어 참여시의 대표시인인 동시에 끊임없이 충남·대전지역의 문단, 즉 호서문단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hin Dong-yup and writers from Hoseo, represented by Daejeon and Chungnam.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fully-fledg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in Dong-yeop and his hometown writers or the Hoseo literary circle, which represents the Daejeon and Chungnam regions. Thes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hin Dong-yeop, who spent his childhood in his hometown, continued his marriage, work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in Seoul after attending Jeonju Normal School. However, as a result of a close examination of his activities and literary traces, it can be seen that he was in close contact with writers in the Hoseo region, and also, two of his prefaces included in the poetry collections of writers from Hoseo were found. The fact that 'Shin Seok-rim(申石林)' was a member of Buso(扶蘇) published by the Buso Literary Society located in his hometown of Buyeo, Chungcheongnam-do in 1959; Preface to Lee Jin-seok's first collection of poetry, Gangmaeul (1968) and Hong Hee-pyo's first collection of poetry, Eogunui jileumgil (1968) can be seen as the proof of Shin Dong-yeop's activities in the Hoseo region. In addition, Shin Dong-yeop's Man and Literature by Lee Seok-ho, published in Chungnam Literature Vol.6, shows in detail the appearance of Shin Dong-yeop on his deathb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detail the relationship of mutual influence between Shin Dong-yeop and the writers from the Hoseo region.
    Shin Dong-yeop tried to discover the excellence of Baekje culture and the spirit of Baekje in the poems of poets in Chungcheong-do, and through them, he tried to inherit the “hyper-era hyper-time” spirit of Baekje beyond the “historical tragedy”. It can be said that it personally showed that it comes from a fierce life that “intuitively sees the inside of today while wandering through the mountains and rivers of today”.
    Therefore, Shin Dong-yeop in the 1960s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poet of resistance poetry along with Kim Soo-yeong, and at the same time, he can be rated as a poet who constantly made efforts to develop the literary world of Chungnam and Daejeon, that is, the Hoseo literary circ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