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르트의 신화론을 통한 북한 프로파간다 포스터의 의미작용 분석 - 2011년~2019년 포스터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Signification of North Korean Propaganda Posters through ‘Mythologies’ of Barthes - Focusing on posters in the period of 2011 to 2019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9
10P 미리보기
바르트의 신화론을 통한 북한 프로파간다 포스터의 의미작용 분석 - 2011년~2019년 포스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21권 / 64호 / 139 ~ 148페이지
    · 저자명 : 박상태, 김은정

    초록

    남북의 분단 상황이 지속되면서 문화의 차이도 가속화되었다. 이에 북한의 생활과 문화를 종합적이고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북한의 예술과 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그 중 프로파간다 포스터는 정치예술 장르로 규정되어 최고지도자에 따라 그 시각적 표현이 변화되어 왔으므로 남북의 예술의 차이를 파악하고 연구하는 사료로써 가치가 있다. 기존의 연구보다 비교적 최근의 변화와 경향에 주목하고자한 본 연구는 김정은 체제 이후, 웹사이트를 통해 이미 공개된 포스터를 뉴스와 개인블로그, 인터넷 검색 등의 2차적 자료로 한정하여 수집하고 의미작용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은 롤랑 바르트의 의미작용 모델을 차용해 북한 프로파간다 포스터의 시각적, 기호학적 조작을 파악, 그 표현 특성을 밝혔으며, 시각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 두 가지의 기표를 통한 1차적 의미인 외시의미를 구분하고 2차적 의미인 함축의미와 신화를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분석의 결론으로 북한 프로파간다 포스터가 단순히 선전과 교화의 목적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닌 북한 주민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규범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 규명되었으며, 포스터의 의미구조는 ‘정책적 의도’와 그에 따른 ‘정책적 결과’를 결합하여 목적을 내포한 직설적이고 함축적인 텍스트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연도별 포스터를 분석한 결과, 북한의 정치적 행보와 연관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해 선전의 도구로 활용되어 왔으며 전체적 표현방법 면에서는 1900년대에 정립된 ‘주체미술’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는 김정은 시대에 이르러 다방면의 변화를 시도하는 동시에 그들의‘주체사상’의 정통성을 강조하며 북한 미술과 디자인이 정치적 상징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As the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continued, cultural differences also accele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rt and design in North Korea that reveals life and culture in North Korea comprehensively and specifically. Among them, propaganda posters have been defined as a political art genre, and their visual expression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top leaders. and their visual expression has changed according to their top leader. They are valuable materials as a source for identifying and researching the differences in art in Korea.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vely recent changes and trends to differentiate from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collects posters already published through websites after the Kim Jongun regime limiting to secondary data such as news, personal blogs, and internet searches and analyzed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The case analysis used Roland Barthes’ signification model to identify the visual and semiotic manipulations of North Korean propaganda posters, and to reveal its expressive characteristic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as drawn by dividing the meaning of negligence, which is the primary meaning through signifiers of both visual and verbal elements, and analyzing the implications and myths, which are the secondary meanings.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North Korean propaganda posters are not simply produced for the purpose of propaganda and edification, rather play a normative role that directly affects the real life of North Koreans. The poster's semantic structure was found to use a straightforward and implicit text containing a purpose by combining 'policy intention' and the ’policy results’.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the posters by year, it was found that they had been used as a propaganda tool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related to politics of North Korea, and in terms of overall expression method, i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Juche art' established in the 1900s. This suggests that North Korean art and desig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olitical symbolic system by emphasizing the legitimacy of the “Juche idea” while attempting various changes in the Kim Jongun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러스트레이션 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