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70년대~1930년대 上海 출판 석인본을 통한 근대적 시각 이미지의 국내 유입 양상 연구 (Study on the Domestic Influx of the Modern Visual Images Through the Lithographed Books Published in Shanghai from 1870s to 1930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09
32P 미리보기
1870년대~1930년대 上海 출판 석인본을 통한 근대적 시각 이미지의 국내 유입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77호 / 327 ~ 358페이지
    · 저자명 : 윤지양

    초록

    본 연구에서는 187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上海에서 출판된 石印本 서적의 국내 유입 현황과 이들 석인본에 수록된 근대적 시각 이미지의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당시 동아시아 출판의 중심지였던 상해에서 출판된 석인본에 수록된 시각 이미지가 국내의 독자들이 근대적 시각 언어를 형성하는 데 끼친 영향을 가늠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먼저, 187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상해에서 출판된 석인본 서적의 국내 소장 현황을 살펴보면,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총 3000여 건의 석인본이 소장되어 있다. 이 가운데 약 69%에 해당하는 968건의 석인본이 掃葉山房에서 출간된 것이고, 국내에서 해당 석인본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기관은 372건(전체의 12.3%)을 소장하고 있는 고려대학교 도서관이다. 고려대 도서관 소장 해당 석인본을 經史子集의 四部로 분류하면 集部에 속하는 서적이 전체의 약 56.45%(210건), 子部에 속하는 서적이 약 24.46%(91건), 經部에 속하는 서적이 약 9.67%(36건), 史部에 속하는 서적이 약 8.33%(31건)를 차지한다. 또, 집부에서 소설류가 전체의 약 14.24%(53건), 總集類가 약 13.44%(50건), 別集類가 약 11.82%(44건)를 차지한다. 이를 통해 당시 상해 출판 석인본 중 소설류가 가장 많이 유입되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시기 국내에 유입된 석인본에 수록된 근대적 시각 이미지를 서양의 근대 지식을 전달하는 삽도와 근대적 문물을 소재로 한 삽도로 나누어 그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고려대 도서관 소장 『美國敎士慕翟先生行述』, 『滿淸官場百怪錄』, 『國文敎科書』, 연세대 도서관 소장 『産科四種』, 『西政叢書』, 『繪圖上海之騙術世界』(掃葉山房, 1914), 『黎元洪武昌起義』(江東書局, 1917), 규장각 소장 『繪圖致富奇書』, 『申江勝景圖』, 『海上中外靑樓春影圖說』, 『繪圖民國通俗演義』, 서울대 도서관 소장 『生理解剖圖說』에 수록된 삽도를 대상으로 해부학, 세계 지리, 과학 지식, 근대적 운송 수단, 도시 경관, 생활 용품 등 새로운 지식이 시각적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n this study I took a look at the overall picture of the lithographed books published in modern Shanghai and then brought into Korea between 1870s and 1930s, and examined the visual images of those books to analyze the symptoms of the modernity i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these visual images on the formation of new knowledge in modern Korea.
    About three thousand lithographed books published in Shanghai were collecte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Kyujanggak Korean Studies Institute, SungKyunKwan University Jongyeonggak, Korea University Library, Yonsei University Library,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d among them nine hundred sixty eight books (about 69 percent of the total) were published at Saoyeshanfang (掃葉山房), and in Korea the institution that has the largest collection of the lithographed books published in Shanghai was the library of Korea University, which has three hundred seventy two books (about 12.3 percent of the total).
    When categorizing the lithographed books collected in Korea University Library into traditional four categories (sibu 四部), thirty six books belong to Confucian classics part (jingbu 經部), about 9.67 percent of the total, thirty one book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historiography and statecraft (shibu 史部), 8.33 percent of the total, ninety one book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masters and philosophers (zibu 子部), 24.46 percent of the total, and two hundred ten books belong to the category of belles-lettres (jibu 集部), about 56.45 percent of the total. Among the books that belong to the category of belles-lettres, fifty three books(about 14.24% of the total) are books of novels. This suggests that the greatest number of novels were introduced among the books published in Shanghai at that time.
    Next, I divided the modern images contained in the lithographed books introduced to Korea including Manqing Guanchang Baiguailu (滿淸官場百怪錄), Guowen Jiaokeshu (國文敎科書), Xizheng Congshu (西政叢書), etc, into two groups; illustrations that convey knowledge from the West and illustrations containing the material representing modern civilization. By examining these images, we can understand how the modern knowledge like anatomy, world geography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material representing modern civilization like new means of transportation, urban landscape, and brand new living supplies were illustrated and explained, and furthermore we can assume that these images had some effect on the formation of visual knowledge in moder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