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로의 전환과 '정치주의' 문화전략 -1920년-1925년 사이의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Transition to the Culture and Cultural Strategy of ‘Politicalism’ - DongA Ilbo(1920-1925) as a Center)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9
36P 미리보기
문화로의 전환과 '정치주의' 문화전략 -1920년-1925년 사이의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사론 / 146호 / 154 ~ 189페이지
    · 저자명 : 윤해동

    초록

    민족자결주의와 개조론을 3ㆍ1운동과 연결해준 매개는 문화론이었다. 그런 점에서 3ㆍ1운동은 가히 ‘문화를 위한 투쟁’이라고 해도 좋았다. 특히 개항 이후 주로 일본을 경유하여 동아시아에 수용된 독일식 문화개념의 수용과 전파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보면, 3ㆍ1운동이 가진 ‘문화투쟁’으로서의 성격이 두드러지는 바 있다. 이는 ‘문화론적 전환’이라 부를 수 있는 시대적 변화였다. 이처럼 1920년대는 ‘문화의 시대’로서 자신의 문을 열어제치고 있었다. 『동아일보』는 ‘문화주의’를 자신의 주지(主旨)로 삼음으로써 ‘문화운동’의 선봉을 자처하였다.
    여기서는 ‘정치주의’ 문화연구를 제안하였던바, 그 핵심은 당대의 문화 혹은 문화론을 시대적 현실에 개입하기 위한 정치적 전략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따라서 1920년대의 문화 혹은 문화론은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식민지적 우회전략으로서 중요한 위상을 갖게 된다. 정치적 우회전략으로서의 문화 혹은 문화론은 두 가지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하나는 특수성으로 파악된 문화인데, 이는 곧바로 문화운동으로 전환하였다. 이리하여 ‘운동으로서의 문화’가 등장하였는데, 이것은 특수성을 확인하기 위한 문화의 전략이었다. 다른 하나는 부문성으로 파악된 문화인데, 이는 다양한 서브 컬쳐와 일상적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드러났다. ‘민족문화’에 대한 관심은 문화가 부문성을 넘어 전체성을 확보하는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두 과정이 ‘정치주의적 문화연구’가 취하는 전략을 통해 확보할 수 있게 된 문화의 시대정신이었다.

    영어초록

    Culture was the link connecting the ideologies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reconstructionism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this respect, the March 1st Movement may be called “a struggle for culture.” The cultural struggle is particularly prominent set against the reception and spread of the German concept of culture (Kultur) by way of Japan after the opening of doors in colonial Korea. This was a change deserving of the term, “cultural turn.” Such was characteristic of the 1920s, moving towards embracing a cultural era. Using “culturalism” as a key tenet, DongA Ilbo claimed to be spearheading the cultural movement. Here, I make a suggestion for cultural studies from a political perspective(politicalism), the core of which is that culture must be seen as a political strategy to intervene in the reality of a specific period. In this approach, the culture of the 1920s has a critical status as an oblique strategy toward a political goal. In terms of political strategy, there were largely two perceptions of culture. One was based on particularity, which immediately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e cultural movement. Hence, culture as a movement emerged, as a strategy focused on particularity. The other perception was based on a sectional concept of culture, as manifested in the various subcultures and a heightened interest in daily culture. The emphasis on the “national culture” had an intermediary role in moving culture out of particularity and into generality. These two processes represented the cultural zeitgeist created through the strategies as understood in the cultural studies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사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