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젠더지형의 변화와 페미니즘의 미래-1990년대 미국과 2000년대 한국 페미니즘 담론 비교연구- (Transformations in Gender Structures and the Future of Feminism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American Femin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1.12
29P 미리보기
젠더지형의 변화와 페미니즘의 미래-1990년대 미국과 2000년대 한국 페미니즘 담론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6호 / 133 ~ 161페이지
    · 저자명 : 이명호

    초록

    이 논문은 1990년대 미국과 2000년대 한국 페미니즘 담론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읽어내고 버지니아 울프의 통찰에 힘입어 위기를타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990년대 미국과 2000년대 한국에서는 페미니즘의 죽음이나 실종을 선언하는 현상들이 공통적으로 대두한다. 신자유주의의 지배와 더불어 젠더 대립구도가 약화되고 여성 내부의 차이가 부각되면서관습화된 성차가 흐려지고 혼종적 젠더들이 등장한다. 대중문화 영역에서는올드 페미니스트와 신판 여성성의 대립구도가 형성되고 자기개발담론이 주도권을 획득한다. 2008년 금융위기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위기가 가시화되는트라우마적 순간으로 사라졌던 계급이 복귀한다. 계급차이가 인종문제로 치환되는 미국과 달리 한국사회에서 계급의 복귀는 여성 내부의 양극화로 나타난다.
    한국과 미국에서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젠더지형의 변화를 비교하면서 본논문은 페미니즘의 실천성을 위해 ‘하나가 아닌 성’이라는 이리거레이의 주장을 버지니아 울프의 주장과 결합시키고자 했다. ‘하나가 아닌 성’은 하나로 환원될 수 없는 다양한 사회적 위치의 여성들이 가진 차이와 복합적 경험들을가리키는 동시에 하나의 논리가 지배하는 남성적 상징질서에서 잔여이자 잉여로 존재하는 여성성을 의미한다. 이리거레이가 반사적 여성성과 구분하여 잉여적 여성성이라 부르는 이 새로운 여성성은 여성 자신에게도 낯선 타자이자아직 실현되지 않은 미지의 가능성으로 남아있다. 그것은 남성적 하나의 논리에 빠지지 않고 단독적 개체로서 개개 여성들의 고유한 가능성을 살리는 길이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잉여적 여성성이 버지니아 울프가 자의식적 젠더 대립구도를 넘어선 지점에서 발현되는 성적 특질이라 부른 것과 개념적으로 상통할 수 있다고 본다. 울프는 여성이 남성지배사회의 국외자로서 갖는 독특한차이에 기반하여 인류의 해방과 평화의 증진이라는 보편적 대의에 기여할 것을 주장했다. 성차를 통해 도달하는 보편성의 지평은 우리 시대 지배 권력으로군림하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질서로부터 자기 자신을 빼냄으로써 그 질서의 구조적 폭력에 맞서는 주체적 행위, 개별 여성으로서의 단독적 차이를 여성이라는 가상의 집합성 속으로 끌어들이는 것을 거부하면서 한 개체적 존재로서 시도하는 저항행위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read the emergent new social phenomena both in Korean feminism in the 2000s and in American feminism in the mid-1990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nd proposes an alternative ethical possibility based on Virginia Woolf's insight in Three Guineas. A common phenomenon of the death or disappearance of feminism emerged in both countries. With the domination of neo-liberalism, the binary gender opposition was weakened; along with the emergence of differences within women,gender difference was obscured and hybrid genders appeared. The opposition of the new regime of femininity and old feminism emerged in the realm of mass culture, and the discourse of enterprising self took the initiative. The financial crisis in 2008marked the traumatic moment in which the crisis of neoliberal capitalism came to be visible and the repressed class returned. The return of the class in Korea appears through class polarity,different from America where class differences are often displaced into racial or ethnic differences.
    Interpreting the transformations of gender structure in both countrie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 try to combine Luce Irigaray's argument of "this sex which is not one" with Virginia Woolf's. The argument of "this sex which is not one" indicates not only the differences and complexities of women in different social positions irreducible to Woman but also the femininity erupting as excesses in the phallic symbolic order. This new femininity named by Irigaray as ‘excessive femininity’ remains “other," strange, and unknown even to women themselves; it signifies an individual woman's attachment to her own singular desire, which cannot be totalized under the universal category of Woman. I argue that Irigaray's excessive femininity can be combined with Virginia Woolf's sexual difference, which is realized in the realm transcending self-conscious gender opposition. In Three Guineas,Woolfs argues that women should contribute to universal cause of the emancipation of humanity and the promotion of peace based on their singular sexual difference as outsiders in male-dominated society. Universality grounded on sexual difference can be attained when women withdraw themselves from neo-liberal capitalism and resist its structural viol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