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미국 아프리카 연구와 흑인 반란 - 1969년 아프리카학회의 몬트리올 연례대회를 중심으로 (African Studies and Black Rebellion in the 1960s in the U.S. - Focusing on the Montreal Annual Conference of the African Studies Association in 1969)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10
35P 미리보기
1960년대 미국 아프리카 연구와 흑인 반란 - 1969년 아프리카학회의 몬트리올 연례대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104권 / 37 ~ 71페이지
    · 저자명 : 우인희

    초록

    이 글은 1969년 10월 15~18일 미국 아프리카학회(African Studies Association, ASA)의 몬트리올 연례대회에서 벌어진 흑인과 백인 학자들 사이의 인종적 대결, 소위 몬트리올 위기의 의미를 고찰한다. 아프리카학회는 전후 냉전과 탈식민화의 흐름에 대응하여 나온 아프리카 지역연구 분야에 최대 학술 조직이었다. 몬트리올 대회는 흑인 학자들이 처음으로 미국 아프리카학계의 신식민주의와 구조적 인종주의를 비판하면서 세계 흑인 민족의 주권을 주창하며 일어선 반란의 공간이었다.
    이 글은 몬트리올 위기에서 흑인대표회의가 제기한 두 가지 핵심 쟁점에 주목한다. 먼저 아프리카학계의 학문적 신식민주의에 대한 비판에 주목해, 흑인 학자들이 범아프리카적 관점에서 아프리카인과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세계의 흑인 민족의 역사적 경험을 주체적으로 탐구하고자 한 흑인연구라는 지적 기획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흑인 학자들이 아프리카학회에서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한 ‘인종적 동수 해법’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당시 자유주의 아프리카니스트들의 언어 속에서 인종권력이 어떻게 작동했 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1960년대 미국 흑인해방운동의 여러 물줄기 가운데 탈식민화를 향한 새로운 학문적 운동의 한 계기 를 파악하고, 이 시기 미국 자유주의의 작동 방식의 인종주의적 성격과 한계를 검토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so-called Montreal Crisis, the racial confrontation between black and white scholars that took place at the African Studies Association’s annual conference in Montreal from October 15 to 18, 1969. The ASA was the largest academic organization in the field of African studies that emerged in response to the postwar Cold War and the wave of decolonization. It was the Montreal conference that black scholars stood up to the first time to criticize the neo-colonialism and institutional racism of African studies and to advocate for the sovereignty of black people around the world.
    I focus on two key issues raised by the Black Caucus. First, by focusing on the criticism of academic neo-colonialism in African studies at the time, I examine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new academic project of Black Studies, which sought to explore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Africans and black people from a pan-African perspective. Next, I examine how racial pow- er operated in the language of the then liberal Africanists through the debate surrounding the ‘racial parity solution’ demanded by black scholars in order to secure their representation in the ASA. This helps to identify one of the moments in a new intellectual movement toward decolonization among the various streams of the black liberation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and to examine the racist nature and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of American liberalism during thi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