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양 선교사가 주도한 근대 한국학의 발명과 국제화, 1870년대-1890년대 (The Invention & Internationalization of Modern Korean Studies by Western Missionaries from the 1870s to the 1890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12
47P 미리보기
서양 선교사가 주도한 근대 한국학의 발명과 국제화, 1870년대-1890년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55호 / 111 ~ 157페이지
    · 저자명 : 육영수

    초록

    이 논문은 19세기 후반에 서양 선교사들이 주도했던 한국학의 발명․전파․국제화 과정과 이 작업에 동반된 제국주의 의지와 욕망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식=권력’이라는 등식으로 압축되는 푸코의 담론이론에 기대어 서양선교사들이 실증적인 사실탐구라는 명분으로 창출했던 근대 한국학이 식민지배에 대한 피식민지배자들의 자발적인 동의를 확보하려는 헤게모니 전략에 다름이 아니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조선에 대한 지식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창출되는 지점과 교환․소비되는 경로 및 전유․재생산되는 사이클 등에 주목하여 각 단계마다 투입되는 ‘식민지 계몽주의’가 지향하는 ‘힘에의 의지’를 폭로하려는 것이다. ‘조선을 아는 것은 조선을 지배하는 것이다.’라는 명제를 실천하여 서양 선교사들이 엮고 지휘했던 담론의 역사를 서술함으로써 지식생산과 제국권력의 분리할 수 없는 운명을 파헤치려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문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문 앞부분에서는 가톨릭 선교사들이 가장 먼저 그렸던 한국학의 윤곽을 더듬기 위해 다블뤼․달레․리델 신부의 글에 주목한다. 서양어로 서술된 최초의 한국역사문화 소개서인 샤를 달레의 『한국천주교사』(1874년)가 주요 분석대상이다. 다음으로는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건축했던 한국학의 형식과 내용을 관찰한다. 존 로스의 『한국사』(1879년)와 그리피스의 『은자의 나라 한국』(1882년)을 비교 분석하여 신교 선교사들이 쌓아올린 한국학의 골격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 끝에서는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출간했던 최초의 영문 월간지인 『코리안 리포지터리』에 초점을 맞춰 달레-로스-그리피스가 초벌로 스케치했던 한국학이 더욱 정교하고 치밀한 담론으로 승격되는 공정을 추적한다. ‘서양 선교사들은 조선의 전통과 제도를 어떻게 인식했을까?’라는 기존의 질문들을 되풀이하는 대신에 ‘서양 선교사들은 어떤 의도와 세계관을 가지고 한국의 역사문화와 그 성격을 특정한 방식과 콘텐츠로 창출했는가?’라는 새로운 질문을 제기하고 그 대답을 탐색해보려는 것이 본문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주제의식이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 필자는 몇 가지 잠정적인 결론에 이른다. 1) 조선 식민지를 정당화하기 위해 조선역사의 정체성(停滯性), 지배계층의 무능력, 분열적인 지역주의 등을 강조했던 ‘식민사관’은 일본제국에 지적 소유권이 있다기보다는 19세기 후반 프랑스 가톨릭 신부들과 미국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공동으로 만든 담론에서 기원․파생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서양문명이 먼저 경험했던 근대화 운동의 동아시아 우등생임을 자부했던 메이지 일본정부가 서구에 대한 자신의 열등적인 자아상을 식민지 조선에 투사(投射)하여 ‘메이드-인-웨스트(Made in the West) 한국학’을 식민지 운영에 ‘쓸모 있는 한국학’으로 변주하여 제국주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적인 무기로 (재)활용했다는 것이 필자가 조심스럽게 제기하는 가설이다.
    그렇다면, 2) 포스트식민시대를 사는 오늘 우리가 진정으로 식민사관을 극복 혹은 횡단하기 위해서는 일본제국주의의 악랄함을 반복적으로 비난하는 대신에, 서양 선교사들이 조선에서 헌신적으로 실행했던 ‘문명화 사명’과 서구중심적인 진보사관 및 인식론적 식민주의 사이의 은밀하고도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를 재조명하는 작업이 필요불가결한 선행조건이다. 서양과 일본 양 제국이 정교하게 짜놓은 식민지 담론의 정신적인 노예로 남기를 단호히 거부하고 지금 우리가 재발명해야 할 현대 한국학은 근대 한국학의 견고한 격자를 급진적인 파괴하고 전복적으로 다시 쓰는 고통을 동반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과제인 것이다. 필자가 본 논문에서 제기한 ‘위험하고도 도발적인 테제’를 좀 더 설득력 있게 증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례연구와 비교사적이며 트랜스내셔널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한다.

    영어초록

    The article aims to critically comprehend the origins, the processes, and the effects of modern Korean studies, which had been primarily managed and manipulated by Western missionaries during the second half the 19th century. Relying on Michel Foucault’s concept of discourse (=knowledge/power), the article claims that Western missionaries invented, accumulated, and internationalized Korean studies in the guise of objective and value-neutral knowledge in order to justify and legitimate the implantation of “Christian Civilization” on Korean soil and mind. In pursuit of this thesis the author tries to disclose the intimate and indispensabl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production and colonial matrix of power.
    The main body of the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Part One keeps trace of French Catholic priests’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of Korean studies for the purpose of converting uncivilized-superstitious Koreans into royal Christians. The works of Antoine Daveluy, Charles Dallet, and Felix Ridel are analysed. Part Two compares John Ross (History of Corea, 1879) with William Griffis (Corea the Hermit Nation, 1882) to examine how Protestant missionaries contributed to solidifying major framework of Korean studies. Part Three focuses on The Korean Repository, the first English monthly period, in which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refined, upgraded, maneuvered, and most of all internationalized the encyclopedic knowledges on Korean civilization. The author evaluates that The Korean Repository had completed the First Wave (Cycle) of Korean Studies and prepared/anticipated for the arrival of the Second Wave of Korean Studies, which was to be launched by Korean nationalist scholar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The author tentatively concludes the article by proposing a radical and “dangerous” hypothesis as followings: 1) the discourse on Korean civilization that emphasizes the negative & de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and people was not a conspiracy of Japanese imperialism but a collaborated product of French Catholic and mostly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2) Judging from this perspective, the author is convinced that the challenging task for eradicating colonial heritages in the post-colonial era should begin, instead of repeatedly blaming Japanese imperialism for enforcing the colonial historiography, by shedding a new light on the hidden. unintended, and paradoxical legacy of Western missionary works accomplished under the excuse of promoting Christian Civilization in Korea. Needless to say, the author welcomes more comparative & transnational case studies written either to dispute or confirm his provocative argumen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