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인포그래픽 연구의 동향분석: 국내 학술논문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fographics Research Trend from 2004 to 2017: 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Academic Journal Articles in Kore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02
12P 미리보기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인포그래픽 연구의 동향분석: 국내 학술논문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3권 / 1호 / 135 ~ 146페이지
    · 저자명 : 진진아

    초록

    연구배경 미디어 플랫폼의 빠른 변화에 따라 빅데이터와 수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중요해졌다. 인포그래픽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선별하고 추출한 후 시각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사용자의 회상기억과 이해도를 높일 뿐 아니라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업계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인포그래픽의 학문적 현주소를 파악하여 관련 실무자와 연구자 모두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인포그래픽', ‘인포그라픽’, ‘infographic’, ‘infographics’의 키워드로 추출된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총 82편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논문은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카이제곱검정의 유의성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연구동향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자 특성에서 연구자는 1명과 2명이 가장 많았고, 학계소속의 디자인전공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특성에서 웹에 관련된 매체중심의 연구가 많았고, 기타, 교육분야에서의 인포그래픽 연구가 두드러졌으며 사례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작과정/기획/전략과 인포그래픽 표현요소와 특성에 관한 주제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인포그래픽 연구는 2004년에 최초로 시작되었지만, 계속 전무하다가 2011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어 2014년에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등재지에 수록된 논문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포그래픽에 관한 학술적 연구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동향을 파악하여 함의를 도출한 점에서 관련 실무자에게는 인포그래픽의 트렌드를 파악하여 전략수립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침을 제시하고, 관련 연구자들에게는 전체적인 연구흐름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학문 간 협업을 통해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With the rapid change of media platforms, the communication between big data and recipients has gained in importance. Infographics, the visual expression of a large quantity of selected and extracted data, exerts positive influence by not only enhancing the user’s recollective memory and understanding but also arousing his or her interest. In this light, the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current academic standing of Infographics that registers high levels of usability in the industry and thereby provide useful suggestions to both the related workers and researchers.
    Methods Chosen for analysis a total of 82 research papers extracted from the academic journals listed in the South Korean academic databases, keywords such as infographic and infographics (and their Korean equivalents) were used. The thesis has come up with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content, and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analyzed and come up with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trends by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chi-squared test.
    Result First, as far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are concerned, the largest number of the researches had one or two researchers, esp. with those working in academia and specializing in design. Second, as far as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go, many of the studies focused on web-related media. They were visibly concerned with Infographics in education and most of them were done by analyzing the content. Third, the majority of the studies treated production, planning, and strategy, and the expressiv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Infographics. Fourth, the study shows that research on infographics began in 2004 and there was a lull until 2011 when full-blown research started and registered a sharp increase in 2014. Lastly, a relatively larger percentage of the papers ended up published.
    Conclus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me up with implications by performing a total analysis on and figuring out the trends in academic research on Infographics, which is now used in various areas.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important guidelines for related workers identifying infographic trends and creating strategy and presents related researchers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general research trends. Future collaboration among academic fields should requir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