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완서 소설의 ‘공모’ 의식과 마음의 정치—1987년 이후와 박완서 소설의 1970년대 서사 (The Conspiracy in the Novels of Park Wan-Seo and the Mind Politic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8
30P 미리보기
박완서 소설의 ‘공모’ 의식과 마음의 정치—1987년 이후와 박완서 소설의 1970년대 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37호 / 371 ~ 400페이지
    · 저자명 : 이선미

    초록

    박완서는 1989년 <복원되지 못하는 것들을 위하여>라는 단편소설을 발표한다. 1987년 전국적인 시위를 거쳐 대통령 직선제를 이루어내고서, 한국사회는 ‘1987년 민주화 이후’의 시기로 접어들었던 때이다. 1961년 박정희 군사 정권시절부터 전두환 대통령 시절을 거쳐 1987년에 비로소 이루어진 직접 선거제도는 민주주의의 상징처럼 한국사회를 기대와 희망으로 들뜨게 만든다. 그리고 실제로 1988년 월북작가의 해금조치를 비롯하여 과거사를 청산하는 여러 가지 복권운동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1970년 등단하여 줄곧 반공주의의 영향력을 다뤄온 박완서는 1970년대 어느 작은 마을에서 국회의원 선거를 치룰 때마다 마을의 주민들이 권력의 편에 서기 위해 스스로 선거 부정을 일삼던 일을 ‘복원’이라는 수기를 통해 고발하는 이야기를 심사하는 과정을 다룬 소설을 발표한다. 이 수기의 주인공은 1987년 민주화가 이루어지고 세상이 바뀔 것이라는 기대를 하면서 1970년대 자신이 저지른 부정과 권력의 추악한 면모를 생생히 증언한다. 그러나 당선 사실을 통고받으면서 바로 당선을 취소한다. 1989년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 수기에 고발한 국회의원이 그대로 후보자가 되어 출마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소설은 소설 속 수기의 현실적 의미를 통해 오랫 동안 반공주의와 냉전문화를 경험한 한국사회에서 민주화가 얼마나 복잡하고 힘든 과정인가를 되묻는 것이다. 이 소설은 한국사회의 민주화란 1970년대의 냉전 질서, 반공주의 사회에서 살아남은 보통사람들의 삶의 구조를 총체적으로 고려하지 않으면 가능하지 않다고 말한다. 민주화 되었어도 과거를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논리를 제안하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이 작품의 독해는 자연스럽게 1977년의 <더위먹은 버스>, 1976년의 <조그만 체험기>에 재현된 1970년대를 통해서 완성되는 구조이다.
    <더위먹은 버스>는 월북한 삼촌 때문에 신원조회에 걸려 국영기업체 입사시험에 합격하고도 취직이 취소되고, 유학길도 막혀버리는 억울한 처지에 처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이 가족의 어머니는 즉흥적인 손가락 질에 의해 빨갱이로 몰려 허망하게 총살당한 아버지를 자식들에게는 영웅으로 만들어 정체성을 부여했으며, 월북한 삼촌은 없는 것처럼 숨기고 1970년대를 살아남았다. 어머니는 스스로 1970년대 한국사회에 맞추어 가족의 신분을 세탁하고 살아온 것이다. 1970년대 한국사회에서 빨갱이 가족으로서 온전히 살아남는 일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실, 국가의 공식 기억에 맞는 ‘사실’을 어머니 마음대로 만들어서 정체성을 만들었던 가족이다. 국가가 허락하는 수준의 경험을 벗어난 사람들은 손가락질 하나로도 죽을 수 있다는 경험이 ‘공포’심을 유발하고, 어머니는 자발적으로 국가가 원하는 방식으로 과거를 꾸며대는 ‘공모’를 주저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이 가족은 신원조회라는 절차에 의해 빨갱이 가족임이 밝혀지면서 국가가 보호해주지 않아도 되는 ‘국민’ 바깥의 사람들로 분류될 위기에 처한다.
    <조그만 체험기>는 이렇게 즉흥적인 판결로 순식간에 죽을 수도 있는 법이 통하지 않는 사회의 구조와 사회적인 심리를 파헤쳐 보여준다. 근대적인 법이 지배하는 사회이지만, 법을 준수하는 방식은 우연적인 연고에 의해 이루어지기에, 법이 있어서 더 공포스러운 사회라고 인식한다. 게다가 이 우연적인 법망은 돈이 있으면 통과할 수 있다. 1970년대 사회는 우연히 죽지 않으려면 국가권력 편에서 벗어나면 안된다는 한국전쟁의 경험 때문에 합리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법을 무서워하며, 우연적인 처벌의 구조를 벗어나기 위해 부정한 권력과도 공모하는 사회이다. 그렇지만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법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은 모두 가난한 사람들이다. 결국 반공주의에 의해 통제되는 사람은 가난한 사람들인 것이다. 그래서 가난한 사람들은 더 비굴하게 공모하면서도, 항상 가장 억울하게 법의 처벌 대상이 된다. 이렇게 1970년대를 살아온 사람들은 수기를 쓴 필자처럼 1987년 민주화를 희망을 안고 기대한다. 그러나 이렇게 1970년대를 구성했던 한국사회는 1987년 이후라 해서 민주화를 이루기는 어렵다. 1970년대는 이미 국가폭력이나 정권의 통제 수준이 막강했기 때문에 보통사람들은 그에 맞추어 자기 경험과는 다른 경험으로 기억을 재구조화했기 때문이다. 과거를 다시 기억하게 함으로써 권력에 다가가게 한 것이며, 이런 매혹은 공포의 감정을 기반으로 공모하게 만듦으로써 행위의 주체들이 자신을 부끄러워하고, 혹은 말 못할 분노심으로 내면적 고통을 안고살게 만든다. 그리고 이들은 대부분 가난한 사람들이어서 이 문제는 계급문제로 드러난다. 수기의 필자처럼 그 모든 것을 부정하면서 복원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1989년 박완서의 소설은 이 복원불가능성과 민주화를 다시 묻고 성찰하게 한다. 전쟁을 경험한대로 기억한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이미 다른 기억들로 살아버린 1970년대는, 그것을 기억하는 것 자체로 하나의 ‘전쟁’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1987년 민주화 이후를 문제제기하는 1989년의 소설은 1976년과 1977년의 소설들을 함께 놓고 평가할 때, 주제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1987년 이후에 1970년대적 서사의 의미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영어초록

    In 1989, Park Wan-Seo wrote <For Those Not Restored>. In 1987, Korea had become a democracy, and presidential elections had become a reality. As symbolic turning point, many people had great hopes for a better society, and many new social systems were created. In spite of this mood, Park examines the difficult political problems faced by Korean society afte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For Those Not Restored> is the story of an old man who writes an auto-bio graphical account of his involvement in election fraud during the 1970s. He submits his memoir to a magazine writing contest, and finding the story interesting, the judges select the old man’s memoir as the winner. However, the candidate he helped with election fraud in the 1970s is running again afte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f 1987. Like most people, the old man had great expectations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would change after 1987. But when it becomes clear nothing has changed, and that the politicians are still corrupt, he refuses to accept the award for his memoirs for fear of political revenge.
    During the 1970s, anyone who violated anti-communist laws, had a family member flee to North Korea, or simply became labeled a communist, could be executed. This led to many cases of people manipulating their family history and covering up their past. And since the law itself was coruppt, there was great a fear of law. Many people were forced to live lives of forged histories and false memories, because they were too terrified to reveal the truth.
    In the 1970s, many people clung to whatever positions of authority they could, because they were themselves afraid of the state’s power. Many common people cooperated with those in authority, but eventually wanted to reveal their acts corruption during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expected the same from their leaders. But the politicians pretended nothing had happened, that they had done nothing wrong, making ironic promises of a new society. The politicians found it hard to change, and even harder to reveal the truth regarding their own corruption.
    Park’s novel <For Those Not Restored> investigates how, just like in the 1970s when people were afraid to reveal the truth about their political ties, the same was true afte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f 1987. People were afraid to reveal how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previously corrupt political system. The theme of her novel is how the pattern of fraud continued in a new form, and simply became a new brand of fraud after the democratiztion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