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 文科及第者의 分館實態에 관한 硏究 - 1623년~1720년 시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ointment Tendency of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文科及第者) to the temporary governmental positions(分館職) in Joseon dynasty - Centered on the period 1623~1720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9.02
41P 미리보기
朝鮮時代 文科及第者의 分館實態에 관한 硏究 - 1623년~1720년 시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1권 / 307 ~ 347페이지
    · 저자명 : 이창걸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문과급제자들의 分館 실태와 그 경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문과 급제자들 중에서 일정한 부분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이들의 분관유형과 분관직에서 初職으로 임명되는 시기, 그들의 초직에서 최고관직으로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추정하여 보았다.
    실제 이들의 관직 승진 조사에서 드러난 것은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에 관료들의 승진과정이 순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三館으로 分館되는 시점에서 성균관, 승문원, 교서관에서 이미 차별화가 되고 있었다. 교서관은 핵심관직으로 승진하는 과정에서 배제되어 왔으며 교서관 분관자에는 서북지역의 인물과 庶子 출신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관직임명에 있어서 대부분은 外官職과 기타 주변부(Marginal) 관직에 임명되고 있었다. 관직의 경로도 비교적 단순한 유형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승문원은 교서관에 비해 분관되는 시점에서 이미 핵심 관직으로 주목받고 있었다. 승문원에 분속되는 급제자들은 주로 한성부에 거주하며 그들의 가문과 威勢가 매우 높은 名文家들의 후예임이 밝혀졌고 성균관 분관자들은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在地士族의 후예였으며 校書館 分館者들은 承文院과 成均館 分館者에 비해 철저하게 차별받았다고 할 수 있다.
    승문원 분관자는 승정원ㆍ예문관ㆍ세자시강원ㆍ의금부ㆍ외관직 등의 초직에 진출한 반면, 성균관 분관자들은 사헌부ㆍ성균관ㆍ승정원ㆍ육조ㆍ외관직 등에 주로 진출하였다. 교서관 분관자는 주로 周邊部 外官職에 보임되고 있었다.
    급제자들의 분관과 그들의 관직 승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출신배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승문원 분관자의 父祖들은 그들의 우세한 가문의 영향력과 ‘혼인’을 매개로 한 ‘婚姻網’으로 權力同盟(Power Bloc)을 지속적으로 구축하였으며, 성균관 분관자들은 승문원 분관자의 출신배경과 영향력에는 크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교서관 분관자는 출신배경이 매우 미미하였다. 한성부 거주자는 승문원과 성균관에 주로 분관되었으며 初職入仕에서는 承政院, 成均館, 三司와 世子侍講院 등 ‘參下 淸要職’에 주로 임명되었다.

    영어초록

    This is to study the appointment tendency of passers of the Munkwa Examination (文科及第者, Civil Service Examination) to the temporary office positions (Bungwanjik, 分館職) in Samgwan (三館, Three Influential Offices) before they were trusted with first official duty in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The temporary post is similar to the internship of these days. I made research on the appointment patterns of the passer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o the temporary posts of Three Influential Offices (Bungwanjik, 分館職) and the periods needed for the promotion to their highest governmental posts (最高職) from the initial office duties (初職) with sample group.
    As we can see in any other researches, the promotion process is not easy as a bureaucrat in Joseon dynasty. At the time being temporarily appointed as intern in Samgwan (三館, Three Influential Offices), meaning Seonggyungwan(成均館), Seungmunwon(承文院) and Gyoseogwan (校書館), the passers were already discriminated. Gyoseogwan Bungwan official (校書館 分館者) were shut out of the route to key positions of the government. Those Gyoseogwan (校書館) officials were mainly born of concubine and from the northwestern provinces of Joseon. Mostly, they were appointed to the position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and other marginal governmental offices. Their elevation route looks very simple relatively to the other groups.
    On the other side, Seungmunwon (承文院) was regarded as more important government division than Gyoseogwan (校書館) even in the time of temporary appointment to the Three Influential Offices (三館分館). The passers of the Munkwa Examination who were appointed to the Seungmunwon (承文院), generally inhabited in Hanseongbu (漢城府, capital area of Joseon), were descendants of good families in power. Those who were appointed to the Seonggyungwan were descendants of Ruling Elites inhabiting in local areas of Joseon (在地士族). The Gyoseogwan (校書館) officials were obviously treated discriminatingly than Seungmunwon and Seonggyungwan.
    While Seungmunwon (承文院) officials advanced to Seungjeongwon (承政院), Yemungwan (藝文館), Sejasigangwon (世子侍講院), Uigeumbu (義禁府), and office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as their first office duties (初職) and Seonggyungwan (成均館) officials advanced mainly to Seonggyungwan (成均館), Seungjeongwon (承政院), Six Ministries (六曹), and office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and the Gyoseogwan (校書館) officials were mostly ordained to the offices outside the capital (外官職).
    In the temporary appointment and promotion process thereafter of the Munkwa examination (文科) passers, family background (出身背景) and the lineages class (門地)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ose who were appointed as Seungmunwon (承文院) officials built up the power bloc (權力同盟) through their superior family power and marital connection (婚姻網). Comparing to the Seungmunwon Bungwan officials (承文院 分館者), the Seonggyungwan Bungwan officials (成均館 分館者) were inferior in family background(出身背景) and influence(影響力). The Gyoseogwan Bungwan officials' (校書館 分館者) were in lowest class for family lineage(門地).
    The passers who were residing in Hanseongbu(漢城府) were mostly appointed to Seungmunwon and Seonggyungwan in their internship period. They were positioned at Chamha Cheongyojik(參下 淸要職), for example Seungjeongwon(承政院), Seonggyungwan(成均館), Samsa(三司) and Sejasigangwon(世子侍講院) as their first office du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