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후반 『문학과 사회』의 변별성 연구—90년대 ‘결산’ 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tinctive Identity of Literature and Societyin the Late 1990s —Focusing on the Evaluation Discourse of the 1990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12
48P 미리보기
1990년대 후반 『문학과 사회』의 변별성 연구—90년대 ‘결산’ 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74호 / 459 ~ 506페이지
    · 저자명 : 안세진

    초록

    『문학과 사회』에게 90년대 후반은 엄혹했다. 격변하는 90년대 후반의 사회/정치/경제적 흐름 속에서 반상업주의와 반민중주의를 스스로의 변별적 자질로 내세운 기존 『문학과 사회』의 정체성 창출 전략은 기능할 수 없었다. 『창작과 비평』으로 상징되는 민중주의 진영이 문단 헤게모니를 상실함에 따라 『문학과 사회』의 변별적 정체성을 지탱하던 삼자적 구도는 해체되었으며, IMF 이후 시대정신으로 밀어닥치는 상업주의의 위력 앞에서 『문학과 사회』가 거처할 수 있는 반상업주의적 입지점은 남아있지 않았다. 그러한 이중의 위기 속에서 『문학과 사회』가 담지해온 ‘순수주의’라는 구호조차 『문학동네』가 내세운 ‘문학주의’라는 유연한 기표 속으로 흡수되고 있었다. 변별적 정체성을 잃어버린 『문학과 사회』는 빠르게 90년대를 결산하기 시작한다. 결산 작업이 일종의 역사화 작업이며 그러한 역사와의 관계맺음 속에서 메타 주체의 정체성이 구성된다는 점을 상기했을 때, 90년대를 역사화하고 그것으로부터 거리를 두어 반성과 성찰의 자세로 스스로의 변별적 입각점을 정교화할 필요성은 『문학과 사회』에게 가장 시급하게 요청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고는 90년대 후반 한국 문학 장(champ)에서 수행된 『문학동네』, 『창작과 비평』, 『문학과 사회』세 주류 문예지의 결산 전략을 ‘단절’과 ‘연속’의 키워드로 비교하며 『문학과 사회』의 결산 작업이 현상하는 특수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결산의 장에서 『문학동네』는 80년대와의 단절을 선언하며 해방의 감각 속에서 90년대 문학을 도래할 2000년대로 열어젖히고 있었다. 반대로 『창작과 비평』은 70~80년대와의 연속을 선언하며 민중주의를 거쳐 분단체제론으로 형질변화한 민족주의의 건재함을 자신했고 오히려 90년대 문학은 비판적 관점에서 주변화 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문학과 사회』에게 90년대 문단은 다만 불가해한 공간으로 스케치되고 있었으며 필자들은 이렇다 할 소결이나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한 고투 속에서 『문학과 사회』는 IMF 이후 펼쳐진 불확실한 세계에 대응할 문학적 응전력으로 ‘4.19 정신’을 호출하는 문제적 모습을 보인다. 타 문예지에 대한 의식 속에서 단절도 연속도 선언할 수 없었던 『문학과 사회』의 결산은 최종적으로 ‘30년의 단절을 사이에 둔 연속’이라는 곡예적 형태로 실현되었다.

    영어초록

    The late 1990s were a challenging period for Literature and Society(문학과 사회). In the context of the turbulence that characterized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trends of the late 1990s, the existing identity creation strategy of Literature and Society, which claimed anti-commercialism and anti-Minjungism as its distinctiveness, was no longer viable. The tripartite structure that had previously supported the distinctive identity of Literature and Society was dismantled as the Minjung camp, symbolized by Changbi(창작과 비평), lost its literary hegemony. Moreover, there was no anti-commercialist position left for Literature and Society in the face of the pervasive influence of commercialism in post-IMF Korean society. In the context of these dual crises, even the slogan of purism embraced by Literature and Society was subsumed by the more flexible concept of literaturism, as proposed by Munhakdongne(문학동네). In the wake of the dissolution of its distinctive identity, Literature and Society promptly initiated a retrospective evaluation of the 1990s Korean literature. Given that the retrospective evaluation is a form of historicization and that the identity of a meta-subject is constituted in relation to such process, the imperative to historicize the 1990s, disassociate itself from it, and elaborate its own distinctive position in a posture of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was the most pressing demand for Literature and Society.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trategies employed by three mainstream literary journals—Munhakdongne, Changbi, and Literature and Society—during the late 1990s within the context of the Korean literary field. The analysis employs the keyword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order to elucidate the particularities of Literature and Society’s retrospective evaluation. While Munjakdongne proclaimed a rupture with the 1980s and inaugurated the 2000s with a sense of liberation, Changbi declared the continuity with the 1970s and 1980s, convinced of the validity of Minjok-ism, which had transformed into Minjung-ism and division system theory, thus the literature of the 1990s was rather marginalized. In the case of Literature an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1990s were sketched as a chaotic era, in which critics were unable to present any definitive conclusions or prospects. In the midst of such struggles, Literature and Society called for the 4.19 spirit as a literary response to the uncertain world that emerged following the IMF crisis. With awareness of other literary journals, Literature and Society’s retrospective evaluation of the 1990s, which could neither declare a continuity nor a discontinuity, was finally realized in the acrobatic form of continuity with a 30-year cha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