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패션마켓의 구매 선호색에 관한 연구 - 2005년~2007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eferable Colors in Korea's Fashion Market — With a focus on recent three years (2005~2007)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08.08
14P 미리보기
우리나라 패션마켓의 구매 선호색에 관한 연구 - 2005년~2007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색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2권 / 3호 / 65 ~ 78페이지
    · 저자명 : 류금희, 박성주, 신옥

    초록

    본 연구는 최근 3년간(2005년~2007년) 우리나라 패션마켓(fashion market)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었던 한국인의 구매 색을 조사․분석하여 일련의 색채 군(郡)을 도출해 봄으로써, 세계적인 트렌드의 보편적 유행색과 차별화된 한국인의 선호색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소비자의 구매 선호색을 알아보기 위한 구체적인 조사방법으로 패션마켓의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통해 대표적인 4가지 마켓 - 여성 영(Women's young), 여성 어덜트(Women's adult), 남성 캐릭터(Men's character), 진&캐주얼(Jean & Casual)을 구분짓고, 각 마켓의 해당 브랜드 별 아이템(Item) - 아우터(Outer), 이너(Inner), 바텀(Bottom), 수트(Suit), 원피스(One-piece)의 구매 선호색을 1위에서 5위까지 조사하여 한국인의 일반적 구매 선호색을 통계 분석하였고, 또한 각 마켓별로 유행색으로서의 구매 선호색을 동시에 조사, 분석하여 이들 두 가지 결과를 종합하였다.
    이 같은 통계자료에 따라, 국내 패션 마켓 구매 선호색의 휴톤(Hue Tone) 분포도를 살펴보면, 색상에서는 레드(R), 옐로우(Y), 블루계열(PB)과 화이트에서 블랙에 이르는 모노톤 계열이 가장 많이 판매 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판매 빈도에서 다소 저조한 계열은 옐로이시 레드(YR)와 그리니시 옐로우(GY), 블루이시 그린(BG)으로 나타나 데님 등의 블루계열을 제외한 중간색은 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톤에 있어서는 비비드(vivid), 스트롱(strong), 브라이트(bright), 라이트(light), 딥(deep)톤이 선호되어 고채도의 맑고 선명한 색들이 더욱 높은 판매율을 보였고, 라이트 그레이시(light grayish)와 그레이시(grayish)톤이 높은 비중을 보여 저채도, 중간 명도의 차분한 색을 현대 한국인들의 구매 선호색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페일(pale)톤, 소프트(soft)톤, 덜(dull)톤, 그리고 다크(dark)톤이 다소 저조해 유채색에서는 고명도의 색이나 중간채도의 색들은 덜 선호되는 것으로 연구 결과, 분석할 수 있었다. 이는 현대를 살고 있는 한국인이 선호하는 색임과 동시에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색을 직접적으로 조사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일련의 차별화된 색채분석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한국의 색’ 정립 모색에 한걸음 더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to make surveys into the best-selling colors purchased in Korea's fashion market for recent three years (2005~2007) and ultimately to identify and elicit a series of Koreans' preferable color structure differentiated from world general trends. In order to delve into which colors are preferred by Korean consumers, major season markets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through segmentations of fashion market for in-depth survey; Women's young, Women's adult, Men's character, and Jean & Casual. Items of pertinent brands in each market, such as outer, inner, bottom, suit and one-piece, have been investigated to categorize Koreans' preferable colors from the first to the fifth, and dissect Koreans' general preferable colors. At the same time, Koreans' preferable ones as fashion colors have been also examined and analyzed, and the two results have been integrated.

    According to the statistic data, hue tone distribution map of preferable colors in domestic fashion total market showed that mono-tone products, such as red(R), yellow(Y), point blue (PB) and white and black, were analyzed to have been best-selling. The survey also revealed that the least selling colors were yellowish red(YR), greenish yellow(GY), bluish green(BG), which demonstrated that neutral colors except for blue colors in denim were least preferable by Koreans. As for tone, vivid, strong, bright, light, deep-tone were among preferable tones, which proved that high-chroma clean and clear colors enjoyed high selling rate. Also light grayish tone and grayish tone were preferred, which demonstrated that Korean consumers have preferred subdued colors in low chroma and neutral value.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pale, soft, dull and dark tone were not preferred, which verified that colors in high value and neutral chroma were not among preferable colors by Koreans.

    In general, the survey has revealed that those colors are among preferred colors by contemporary Koreans in their daily routine. Through the survey, this study has tried to get a better approach to define 'Korean Colors' to represent Koreans' identity, through the sequence of a distinctive color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색채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