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각기동대> 애니메이션과 영화 읽기 ― 1995년과 2017년 사이, 또는 소령과 메이저 사이 ― (A Study on the two forms of “Ghost in the Shell”: A comparison between 1995 and 2017, or major and Major)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11
18P 미리보기
&lt;공각기동대&gt; 애니메이션과 영화 읽기 ― 1995년과 2017년 사이, 또는 소령과 메이저 사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13호 / 223 ~ 240페이지
    · 저자명 : 김태경

    초록

    SF 애니메이션의 신화 <공각기동대 攻殼機動隊>(1995)가 2017년 영화로 다시금 세상에 선보였다. 신화를 기억하는 팬들은 기대와 우려 속에 영화로 재탄생한 <공각기동대 Ghost in the Shell>(2017)를 숨죽여 지켜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에 대한 전 세계적인 찬사와는 달리 영화 <공각기동대>는 참패로 끝났다.
    영화 <공각기동대>에서 표적은 과도한 과학기술과 이를 독점하는 기업으로 단순화되었다. 그리고 이를 상대로 주인공 메이저는 자신의 ‘진짜’ 과거를 찾아 헤매는 아이덴티티의 정치학을 완성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문제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자기정체성의 주제가 너무 단순화되어 있으며 일 방향적이라는 점이다. 주인공 쿠사나기 모토코와 인형사의 융합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생명과 주체의 탄생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천명했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와는 달리 영화 <공각기동대>는 메이저의 근대적 자아 상실과 회복의 이야기로 수렴되었던 것이다. 보통명사 ‘소령’과 고유명사 ‘메이저’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은 크다.
    1980-90년대 일본을 비롯한 세계는 근대 이후 어느 때보다도 강한 포스트모던적인 자장 속에 놓여 있었다. 중요한 점은 근대적 주체와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려는 사고와 시도가 분출하던 바로 그 시기에 <공각기동대>는 세상에 나왔고 그리하여 열광적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사실이다. 발표 당시 전 세계의 주목과 찬사를 한 몸에 받았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의 비평의식과 시대적 맥락에 다시 주목하게 되는 이유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two forms of “Ghost in the Shell.” One is an animation by Oshii Mamoru, and the other is a movie by Rupert Sanders starring Scarlett Johansson. Unlike the worldwide enthusiasm for the animated film “Ghost in the Shell” (1995), the movie “Ghost in the Shell” (2017) ended in misfortune. Why did it fail? In the movie, the target was simplified to excessive technology and its monopolistic enterprise. The main character, Major, is depicted as a person who completes the politics of identity by looking for her “real” past. The problem is that the subject of self-identity presented here is too simple and one-sided. Unlike the animation, which actively accepted and positively declared the birth of a new life and subject represented by the convergence of the heroine Kusanagi Motoko and the Puppet Master, the movie ended with a story of modern self-loss and recovery by the heroine Major.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common noun “major (소령)” and the proper noun “Major (메이저)”.
    In the 1980s and 90s, the world including Japan experienced a post-modern atmosphere stronger than 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t the very moment when ideas and attempts to transcend modern subjects and anthropocentrism erupted, the animated film “Ghost in the Shell” was released to the world and was enthusiastically accepted. Considering the criticism and the contemporary context of the animation, it sufficed to receive the attention and praise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