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가계의 소비시기 구분과 소비시기별 소비양식 연구: 1965년~2016년 (A Study on the Period Classification in Korean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12
30P 미리보기
한국가계의 소비시기 구분과 소비시기별 소비양식 연구: 1965년~2016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31권 / 6호 / 169 ~ 198페이지
    · 저자명 : 최홍철, 최현자

    초록

    본 연구는 지난 50년간 소비양식이 변화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각 시기간 소비양식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시대에 따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소비양식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소비시기를 구분하기 위하여 변화점분석(Change Poi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변화점분석시, 총소비지출액과 비목별 소비지출비중의 평균과 분산에 차이가 생기는 지점을 변화점으로 탐색하였으며, 이후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변화점 개수를 조정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시기를 결정하였다. 이후 각 소비시기의 소비양식의 차이를 소비규모, 소비지출비중, 소득탄력성의 3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자료는 1965년부터 2016년까지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연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가계의 소비시기는 총소비지출액을 기준으로 1965-1973년, 1974-1987년, 1988-2002년, 2003-2012년, 2013-2016년의 5시기로 구분되었으며 각 시기는 시기별 소비양식 특성을 고려하여 필요충족소비기, 서비스소비전환기, 문화향유소비기, 소비성숙기, 소비정체기로 명명하였다. 필요충족소비기에는 의식주 비중이 70%를 넘어 소비의 대부분이 생계유지를 위해 지출되고 있었다. 서비스소비전환기에는 외식 등 서비스 소비지출비중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외식비 등 서비스소비의 증가는 우리나라 가구구조변화, 과학기술의 발전,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에 기인한다. 문화향유소비기인 3시기에는 오락문화 소비가 증가하고, 자동차소비가 급증하면서 여가생활영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4시기는 소비성숙기로, 이 시기에는 가정내 식사 비중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의식주 이외의 비목에 대한 소비지출비중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전의 시기들에서와 같이 소비구조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기보다는 완만하게 이루어졌다. 마지막 시기는 소비정체기로, 이전시기 대비 소비지출규모의 증가가 둔화되었고 평균소비성향은 2016년의 경우 71%대까지 낮아져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이 시기는 비목간 비중의 변화가 큰 변화 없이 일정할 뿐만 아니라 소득탄력적인 비목의 수도 다른 시기에 비해 적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최근의 코로나-19팬데믹으로 인한 경기침체와 맞물려 이러한 소비정체기가 어느 정도 지속될지 그리고 가계소비양식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Consumption is achieved by allocating household resources to various goods in order to achieve household goals, and the consumption pattern is the way in which the consumed items are intrinsically struct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households over the past 50 years. Especially,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patterns of each period by comparing the consumption patterns of each period by dividing the periods based on the points where the consumption styles were changed.
    Change Point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consumption periods. The number of change points was adjusted to fit the study and finally the consumption period was determined. After that, the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between consumption periods in terms of consumption expenditures, consumption expenditure composition, and income elasticity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is that the consumption period of Korean households is divided into five periods of 1965-1973, 1974-1987, 1988-2002, 2003-2012, and 2013-2016 based on consumption patterns, and each period was named as ‘The Period of Consumption to meet needs’, ‘The Period of Transition to Service Consumption’, ‘The Period of Culture-Oriented Consumption’, ‘The Period of Consumption Maturity’, and ‘The Period of Underconsump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consumption style of each period. In ‘The Period of Consumption to meet needs’, more than 70% was spent on food and shelf items. This means that most of the consumption was spent for sustenance in this period.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Service Consumption’,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of services such as FAFH began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Period of Culture-Oriented Consumption’, consumption on Leisure increased from the previous period, and also the purchase of cars increased, so that the leisure area expanded. During ‘The Period of Consumption Maturity’, the proportion of home meals decreased continuously, whereas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of non-food items increased. In ‘The Period of Underconsumption’, consumption expenditure slow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the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 (APC) fell to 71%, the lowest level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