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구려고고학 연구 120년 (A brief history of Koguryo archaeology over the last 120 yea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11
41P 미리보기
고구려고고학 연구 120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53권 / 97 ~ 137페이지
    · 저자명 : 최종택

    초록

    고구려고고학 연구는 20세기 초 일본인에 의한 만주지역 답사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구려고고학 연구동향에 대해서는 여러 편의 논고가 발표되었으나, 지역과 시기 및 주제별로 제한된 범위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한 것으로 120여년에 달하는 기간 동안의 연구동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1895년 도리이 류조의 랴오뚱반도 조사 이후 2014년까지 국내외에서행해진 연구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시기별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글에서는 19세기말 이후 고구려고고학의 연구동향을 네 개의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 1기(1895년~1945년)에는 일본인이 연구를 주도하였으며, 고분과 성곽 등 새로운 자료의 획득을 중심으로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2기(1946년~1973년)에는 북한과 중국 현지인에 의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북한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과 봉토분의 구조형식과 편년 등 연구의 기본적인 틀이 마련되었다. 제 3기(1974년~1994년)는 중국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의 기원과 구조형식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고분과 성곽 등 전통적인 연구주제 외에도 건축및 유물 등으로 연구가 확대되었으며, 현재 논의되고 있는 대부분의 주제에 대한 개설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4기(1995년~2014년)에는 남한과 중국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2000년대 이후 남한 연구자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이 시기 남한과 중국에서 양질의 고고자료가 확보되었고, 주제별 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개설서들이 발표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연구주제가 다양화되었고, 새로운 연구자들이 대거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점에서 향후의 연구 전망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고구려고고학 연구는 시작부터 일제의 식민지 지배로 인한 왜곡을 겪었으며, 광복 후에도 남북의분단, 중국의 동북공정 등 학문외적인 요인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 성과가축적되었지만, 여전히 학문외적 요인이 고구려고고학 연구에 장애가 되는 것 또한 엄연한 사실이다. 학문외적인 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마땅치 않은 것 또한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을 비롯한 국제적인 학술교류와 함께 연구주제의 다양화 및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개발 등 다음 시대를 맞이할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Koguryo Archaeology had begun with the field survey by Japanese scho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Various articles on the research trend of Koguryo Archaeology have been published, but the reviews are limited to the asserted research results which cannot not cover the entire history of Koguryo Archaeology spanning 120 years. This article i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all the Korean and overseas studies from the first survey on Liaotung Peninsula by Dori Ruyzo in 1895 until 2014, and analyzed the shift of the research trends over time.
    The four phases in the development of Koguryo Archaeology can be identified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AD. In the first phase (AD 1895-1945), the research were led by the Japanese scholars and they focused on acquirement of basic dataset such as tombs and fortresses. The second phase (AD 1946-1973) is the period led by North Korea and local Chinese scholars.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played a leading role and established the basic research format such as typology of the stone piled tomb and mound tomb structure and chronology. The third phase (AD 1974- 1994) is the period led by the Chinese scholars, providing various explanations regarding the origins of the stone piled tomb and their structures. Research fields had expanded to include new subjects including architecture and artifacts added to the list of traditional research subjects such as tombs and fortresses. Thus a framework of current research subject and formula was established at that time.
    The forth phase (AD 1995-2014) is the burgeoning period of Koguryo Archaeology led by South Korean scholars and Chinese scholars, but the South Korean researchers were more actively engaged since 2000. High-quality datasets were acquired, and the various introductory books on each research subject were published. The fact that the research subjects were diversified and new researchers had participated, can be positively assessed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Gogyryeo archaeological research.
    Developmental path of Koguryo Archaeology had been overshadowed from the beginning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research has been highly constrained by external non-academic factors such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 and the Northeast Project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Despite the mass of research data so far accumulated, such external factors have restricted the development of Koguryo Archaeology. Although it would be a hard task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the efforts such as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academic project involved wi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diversific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exploring new research methods have to be constantly made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guryo archaeological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