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역사학과 소련 역사학의 관련성 - 1945년부터 1963년까지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historiography and Soviet historiography : From 1945 to 1963)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06
31P 미리보기
북한 역사학과 소련 역사학의 관련성 - 1945년부터 1963년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77호 / 147 ~ 177페이지
    · 저자명 : 조호연

    초록

    이 논문은 1945년부터 1963년 사이에 북한 역사학이 소련 역사학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변모되어 왔는지를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시기에 소련 역사학은 스탈린주의 역사학으로부터 흐루쇼프 시기의 수정주의 역사학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53년까지 북한 역사학계는 “쏘련을 향해 배우라.”라는 구호처럼 소련 역사학의 성과들을 받아들이는 데 주력했다. 그러므로 1948년 7월에 창간된 『력사제문제』에서는 소련 역사학의 방법론만이 아니라 소련 역사연구의 구체적인 성과들이 다수 소개되었다. 스탈린이 사망하고 흐루쇼프가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소련에서는 수정주의 역사학이 등장하였으나, 여전히 스탈린주의 역사학의 일부 특징은 남아 있었다. 북한에서는 이 시기에 『력사과학』에서 일부 소련 역사가들의 논문들이 소개되기는 했지만, 이전보다는 그 수가 줄어들었다. 김일성의 권력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역사학계에서는 리청원이 숙청되었고, 삼국시대의 사회구성체를 놓고 북한 역사학자들은 1950년대 후반에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1954년부터 1960년 사이의 시기는 북한 역사학이 소련 역사학의 논의구조를 참고하기는 하였지만, 나름대로 의존관계를 탈피하고자 시도한 때였다. 더구나 삼국시대 사회구성체 논쟁이 마무리된 1961년 무렵에는 북한과 소련 사이에는 외교적인 갈등이 증폭되고 있었다. 이때 소련에서는 비록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학술적인 자유가 확대되고 있었던 반면에, 북한에서는 스탈린주의 역사학의 특징인 전체주의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었다. 1961년부터 1963년 사이에 미하일 박 등 소련 역사학계에 대하여 북한 역사학계가 공개적인 비판에 나섬으로써 소련 역사학과 북한 역사학이 대립하고 갈등하게 된 것은 정치적인 상황만이 아니라 학문적인 노선 차이 때문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ography of North Korea and the historiography of the Soviet Union from 1945 to 1963. During this period, the basic principle of Soviet historiography was changing from Stalinism to revisionism. From liberation in 1945 until 1953, North Korean historians focused on accepting the achievements of Soviet historians, like the slogan "Learn toward the Soviet Union". Therefore, in the Ryeoksa Jemunje, which began to be published from July 1948, not only the methodologies of Soviet historians, but also a number of their specific achievement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course of Stalin's death and Khrushchev's seizure of power, revisionist historians emerged in the Soviet Union, but some features of Stalinist historians still remained. In North Korea, during this period, Ryeksa Gwahak introduced some papers of Soviet historians, but the number was smaller than before. In the process of Kim Il-sung's victory in power struggle, Lee Cheong-won was purged from the historical academia, and North Korean historians discussed violently in the late 1950s over the social formation of the Three Kingdoms’ era. In the period between 1954 and 1960, North Korea's historical studies referenced the discussions over periodization developed in the Soviet Union,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a time when it tried to break away from dependence on the Soviet historical academia. In 1961, when the discussions on the social formation of the Three Kingdoms’ era was over, diplomatic conflict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were amplifying. At this time, in the Soviet Union, academic freedom, albeit partially, was expanding, while in North Korea, the totalitarian character was reinforced. Between 1961 and 1963, the North Korean historical academia publicly criticized the Soviet academia represented by Mikhail Park, which led to confrontation and conflicts between historical academic worlds of two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