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60년과 1938년 사이에 일어난 국제 선교대회의 복음주의적 고찰 (Study of the International Mssion Conferences Between 1806 and 1938 from Evangelical Perspectiv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0.02
31P 미리보기
1860년과 1938년 사이에 일어난 국제 선교대회의 복음주의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23권 / 23호 / 37 ~ 67페이지
    · 저자명 : 김미선

    초록

    I. 시작하는 말

    현대 선교 운동의 흐름의 양대 주류는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 운동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볼 때 이 두 운동은 모두 복음주의적 초교파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예로 존 모트(John R. Mott)는 19세기 복음주의 선교 운동인 ‘학생자원운동’ (Students Volunteer Movement)을 이끌었고 동시에 1910년 에딘버러 선교대회의 의장으로 ‘국제선교협의회’를 섬겼는데, 이는 그의 삶이 복음주의 선교운동과 에큐메니칼 운동과 연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나마 볼 수 있다. 동일한 맥락에서 볼 때 복음주의 선교운동은 19세기에도 교회일치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교회의 사회, 세계에 대한 책임에도 관심을 가졌지만 19세기의 흐름을 이어간 복음주의와 20세기가 되면서 전혀 새로운 시대적 상황 앞에서 교회의 선교적 책임을 새롭게 깨달은 에큐메니칼 두 흐름으로 나뉘어진 것이라 볼 수 있겠다.
    현대 선교 운동에 관한 연구들은 각 시대적 상황과 반영을 나타내는 선교대회를 고찰함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선교신학에 있어서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선교신학에서 논의되어진 개념들은 선교에 있어 많은 영향력을 미치며 각 세대의 선교를 이끌어 왔다. 이렇듯 기독교 선교의 역사는 우리 시대의 선교가 대면하는 많은 문제와 신학적 질문들에 적절한 해답을 모색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쉽게도 현대선교 운동에 관한 선교대회의 연구는 비교적 1910년 에딘버러 대회 이후로부터 개최되었던 선교대회들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현재의 선교를 더 공고히 하고 더 먼 미래를 바라보고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본고에서는 역사를 한 걸음 거슬러 올라가보고자 한다.
    1910년 에딘버러 대회 이전에도 크고 작은 선교협의회와 선교대회들이 있었지만, 본고에서는 1860년부터 1938년 사이에 일어난 선교대회들 중 주요 대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는 19세기 선교의 신학적 경향과 에딘버러 선교대회의 전형인 1888년 런던선교대회를 중심으로 19세기 영국 선교대회를 상고하고, 두 번째로 20세기 초 에큐메니칼 운동의 대표적인 국제선교대회들 –1910년 에딘버러, 1928년 예루살렘, 1938년 탐바람 – 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1860-1930년 사이의 선교대회의 신학적 흐름들을 살펴보고 이 시대가 풀어야 할 과제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rotestant mission of the 19C showed a great deal of expansion in missionary works, which was enough to be called 'the Great century'. The Evangelical revival movement expanded toward Europe beginning from England and thus the interests of Christian missions in foreign ones formed a lot of mission societies. With this background, the London conference in 1888 turned out to be 'the great Centenary conference' as the first significant international gathering. There were discussions on missionary union, comity and the unity of church relating to division and competition caused by individual mission works of different mission organizations and were the urgent and strong suggestion of a permanent committee to mediat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of the mission societies.
    English evangelical missionaries highly developed the idea of 'God's providence' shown in the hands of God working through the contemporary events. The same tendency of Providentialism was seen in the thoughts and theological emphasis of the London conference, 1888. They believed that God called the United Kingdom to preach the gospel in the same way that God raised the nations and kingdoms to execute compassion and judgement in the Old Testament and that they should obey the call. Although in broader perspective, the understanding of the divine providence can be seen as biblical like the missionaries viewed the imperialism of the times. However in reality it can be said that the idea was distorted by the mechanical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and by the national pride inspired by the English national power. But possibly it is a wrong and biased idea of our generation to seek only errors of Providentialism with the aim of criticising the Christian imperialism of the ancestors and ignoring their biblical assurance and strong faith of God's work through the history in broader meaning.
    The main four conferences discussed in this paper could fall into different categories as follows; Edinburgh, 1910 belongs to the 19C mission paradigm like the London conference, 1888, judging from its characters and tendencies, even though it was held in 20C; Edinburgh, 1910 belongs to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19C to the 20C, which has become the contact point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mission and at the same time, the new starting point of the contemporary ecumenical mission; Jerusalem and Tambaram belong to 20C mission paradigm.
    While the 19C mission put too much emphasis on personal interests and less on social ones, the 20C mission raised social interes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gospel. Discussions of unity and comity were commenced in London 1888 to resolve the conflicts and competitive spirits caused by missionary works centered around the denominational mission societies in the 19C. Ecumenicalism and the emphasis on social gospel grew rapidly in the 20C mission, which began in Edinburgh 1910. During the 19C mission was the ecclesiastical mission, the ecumenical mission in the early 20C weakened the missionary role of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the evangelical viewpoint analyzed that the church was emphasized and its social responsibility ignored in the English mission conferences in the 19C. And thus all the concerns and debates of each missionary conference were the results of efforts to exercise the appropriate mission for each era.
    The movements and theologies trying to correct the errors of the previous missionary works and to renew the strained parts, resolved the problems or compensate the defects and at the same time, weakened the other strengths.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history of mission. Furthermore, it is not a favorable state to criticize the directions and ideas of each mission conference without any examination or to accept them without any criticism, whether from the evangelical or ecumenical view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