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장품 광고와 근대여성-­되기: 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Cosmetics Advertisements and Becoming-Modern Woman from the 1930s to the 1950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2
43P 미리보기
화장품 광고와 근대여성-­되기: 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45권 / 45호 / 175 ~ 217페이지
    · 저자명 : 정민아

    초록

    광고는 1920년대와 1930년대 전 지구적으로 출현했던 신세대 스타일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특히 화장품 회사들은 인쇄매체에 신여성 스타일을 계속해서 창조하고 확산시켜왔으며, 광고는 화장한 얼굴, 단발머리, 드러낸 팔과 다리, 최신 유행 스타일의 의상 등을 통해 신여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새로운 욕망을 창출했다. 화장품 광고는 새로운 사회적 인식과 대중적 욕망으로 신여성을 그려내었는데, 근대사회에서 변화된 새로운 여성상을 투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꼼꼼하게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광고는 대중의 투사와 욕망, 상상적 기능을 복합적으로 상징하며 동시에 안전한 사회적 질서와 가치를 지키는 하나의 이데올로기 장치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식민지 시기와 전후 화장품 광고에서 그려진 여성 재현을 탐구함으로써 당대의 다양한 대중적 욕망이 사회적 제도 안에서 포용되는 방식을 살펴보며, 한국의 근대여성­되기가 광고 속 여성의 몸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화장품 광고는 1920년대 초부터 조선에서 시작되었다. 한국화장품의 초기 시대인 1920년대를 지나, 1930년대는 화장품 광고의 절정기였다. 이때 서양여성과 일본여성이 신여성의 이상적 기준으로 전시되는 동시에 조선의 고유한 모더니티에 근거하여 조선여성을 표현하는 방식의 광고를 활용한다. 1940년대 전시체제에 돌입하자, 인쇄매체가 거의 폐간되고 화장품 시장과 광고는 완전히 위축되었다. 그 자리에 전쟁 슬로건이 들어찼다. 전쟁 후, 사회가 안정을 찾아가던 1950년대에는 자본주의와 미국식 민주주의가 결합하여 그 어느 시기보다도 소비에 대한 관심,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 자유와 개인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영화를 비롯한 대중문화의 부흥과 함께 화장품산업도 호황을 맞이하며 영화배우를 화장품 전속 모델로 발탁하는 일이 시작된다. 배우 이미지를 제품 브랜드와 결합시켜 영화관객을 소비자로 유인하는 것은 엔터테인먼트가 소비와 결합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서구식 자유주의에 대한 열망은 개인에 대한 것에서 육체적 관심으로 확산되었는데, 이 시기 화장품 광고모델은 모두 서구형 마스크에 글래머러스한 몸매를 소유한 강한 인상의 여성들이었다.
    1950년대를 경유한 후, 1960년대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영화 스타가 화장품 광고모델로 활약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스타 문화사를 그려보는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영어초록

    Advertisements are the important tools to verify modern woman styles appeared in the 1920s and the 1930s all over the world. Specially, while cosmetics companies had continuously spreaded modern woman styles through printing media, cosmetics advertisements had positively reflected modern women in the days and created new desires of them by make-up faces, bobbed hair, exposed arms and legs, and the most up-to-date fashion styles. Since cosmetics advertisements had drowned modern women with new social recognition and the masses’ desires, we need to analyse very carefully them from the view of reflecting new woman’s image changed in the modern society.
    Cosmetics advertisements had started in the early days of the 1920s in Chos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gone through the peak in the 1930s. The advertisements had displayed white women and Japanese women as the ideal standards of modern women, and represented Korean women based in vernacular modernity of Choseon. In the 1940s, the war regime had run, almost printing media were ceased to be publish, and the cosmetics market and advertisements were completely shirked. Instead, war slogans had occupied. In the 1950s when capitalism and Americanized democracy were mixed, Korea people were interested in consumerism, mass culture, and individualism and freedom then ever before. Since the cosmetics industry had experienced the boom with the recovery of mass culture including cinema, film stars were stared to sign for playing as the models for cosmetics advertisements. The mixture of star image and product brand image is important meaning in view of combining of entertainment and consumerism because it means that a film audience became a consumer.
    Advertisement is a mirror of the time, and reproduction mechanism of culture ideology that forms symbolic image of the subject. Also, advertisement is an ideology institute that represents masses’ reflection, desires and symbolic functions compositively, while keeps secure the social order and values.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representation of women portrayed in cosmetics advertisements in colonial Chos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postwar period; examines how masses’ diverse desires were included in the social system of the day; explains how becoming Korean modern woman were presented through women’s bodies of the cosmetics advertis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