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문화산업 연구동향 - 2009년~2013년 중국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The Trends of Studies on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 Focused on Chinese Academic Essays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13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5.03
48P 미리보기
중국문화산업 연구동향 - 2009년~2013년 중국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61권 / 323 ~ 370페이지
    · 저자명 : LIDONGBEI, VU THI THANH HUONG, 김기덕

    초록

    중국에서는 2009년 국제금융위기를 통해, 문화산업은 국가차원의 전략적인 산업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이 중요한 전환시점에 부응하여 문화산업을 연구하는 학자들도 많아졌다. 필자는 중국최대의 논문사이트인 지망(知網,http://www.cnki.net/)을 이용해 문화산업, 중국문화산업 등 주요 키워드를 입력하여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모든 중국문화산업 관련 박사학위논문 197편과 학술논문 236편을 모아서 검토하였다.
    본 글은 먼저 문화산업과 문화창의산업의 정의를 검토하였으며, 이어서 2004년과 2012년에 중국정부가 공표한 문화산업분류를 분석하였다. 다음장에서는 중국문화산업연구의 트랜드를 크게 문화산업, 문화산업정책, 저작권, 지역문화산업 등으로 나누어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중국 문화산업 연구는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활발히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문화산업의 새로운 단계라고 할 수 있는 문화창의산업의 연구가 집중되고있다. 앞으로 구체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연구가 산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연구는 구체적인 보완방안, 문화산업정책의 구체적 수행과정, 정책시스템 전반에 대한 평가 관련 논문들이 차후 산출될 것도 예상된다. 또한 저작권 보호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저작권 관리 및 저작권 이익 배분 등과 관련된 연구들이 주목을 받을 것이며, 지역문화산업 관련 연구는 광대한 지역을 포괄하는 중국의 지리적 특성상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는 중국문화산업 관련 연구논문을 전체적으로 소개하는 차원이어서 논문 하나하나에 대한 세밀한 검토는 이루어질 수 없었다.
    이 점은 추후 개별 주제를 다룬 후고를 통해 보완될 것이다. 또한 각 세분화된 문화산업 부문, 예를 들면 TV방송,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공연 등 각 장르별 연구논문은 생략할 수밖에 없었다. 이 역시 차후 구체적인 연구주제를 통해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China, the cultural industry has come to emerge as the national-levelstrategic industry through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9. In keeping with this important turning point, many scholars have studies the cultural industry.
    So this study collected and examined 197 doctoral dissertations and 236academic essays related to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published over the period between 2009 and 2013 by entering major key words such as the cultural industry and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with the use of Zhiwang(http://www.cnki.net/), the greatest academic paper site of China.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definitions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the cultural creation industry and then analyzed the classific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publicly announced by Chinese government in 2004 and 2012. The next chapter attempted to analyze related papers by dividing the trends of studies on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into the cultural industry, the cultural industry policy, the copyright,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y and the like ina broad sense.
    An attempt is actively made to conduct studies on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in diverse academic fields. and especially studies are concentrated on the cultural creation industry which can be said to be a new stage of the cultural industry. It is anticipated that concrete and in-depth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And it is anticipated that studies on the cultural industrial policy will be conducted in relation to the concrete complementation scheme, the concrete implementing process of the cultural industrial policy, and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policy system in the future. And studies related to copyright management and the allocation of interests from the copyright will draw attention together with those on copyright protection.
    And it is anticipated that studies relating to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y will further increase on account of the Chines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covering the vast area.
    Finally, this study could not make a detailed examination of individual academic papers as it focused on the level of introducing research studies related to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overall. This point will be complemented through the study that will deal with the individual subject in the future. And this could not but omit research studies on each genre such as subdivided cultural industrial fields, for example, TV broadcasting, cinema, animation, game, performance and the like. And this could also be reflected through concrete research subject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