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의 중국 이주와 사회변동 : 1990년부터 2020년까지 (Korean Immigration and Social Change in China : From 1990 to 2020)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4
36P 미리보기
한국인의 중국 이주와 사회변동 : 1990년부터 2020년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해항도시문화교섭학 / 26호 / 33 ~ 68페이지
    · 저자명 : 구지영

    초록

    이 논문은 글로벌 생산시스템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1990년대부터 탈지구화로의 전환이 가시화된 2020년까지, 한국인의 중국 이주와 사회변동을 다음과 같이 개관한 것이다. 첫째, 연구사를 정리했다. 재중국 한국인사회는 규모와 역동성, 이민연구에서의 이례성, 무엇보다 부상하는 중국의 중요성으로,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연구 의의가 인정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증연구가 많았다. 이 연구들은 정부 차원에서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던 이주민 사회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기록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둘째, 지난 30년간 정치・경제적 관계의 궤적을 그렸다. 1990년대에서 2008년까지는 정치 관계가 시장의 요구를 지지하는 환경을 조성했다. 한편 2009년부터 시작된 중국의 공세적 외교가 2012년 말 시진핑 집권 이후 더욱 강화되면서, 국가 간 정치 갈등이 촉발되고 지방 정부의 재량권은 축소되었다. 그럼에도 이 시기 동아시아의 경제 관계는 이러한 정치적 갈등을 봉합하는 기제로 작용했다. 셋째, 1990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을 향한 자본과 물자의 이동은 기업 규모와 업종에 변화는 있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중국을 중심에 둔 동아시아 경제의 상호 의존도는 높아졌다. 반면, 사람의 이동은 그 양상이 달랐다. 1990년대부터 급격히 형성된 현지의 비공식 관행이 지지해온 기업 공간 밖의 경제활동은 법제도적 정비로 공적 부문으로 포섭되기보다는 통제되거나 배제되어왔다.

    영어초록

    This paper outlines the immigration and social changes of Koreans to China from the 1990s, when the global production system was formed in earnest, to 2020, when the transition to de-globalization became visible. First, I organized the research history. Research so far has generally focused on grasping the reality of this immigrant society through empirical methods. Second, political and economic fluctu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examined. Until 2020, the two economies had developed in a structurally close direction. At the time of diplomatic relations, political relations created an environment that supported economic exchanges, and after 2010, this economic relationship served as a mechanism for sealing political conflicts between countries. Third, through literature data and field surveys, Koreans' migration to China and social changes were outlined. First of all, the trend of population size was examined through national statistic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Korean society in China has been directly affected by political and economic fluctuations and has repeatedly expanded and contracted. In addition, the on-site survey data showed that immigration activities were excluded or reduced rather than socially accepted by legal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In short, the research so far has the significance of materiali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immigrant society that have not been accurately grasped at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level in an empirical method. However, looking back at this point in the transition to de-globaliza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failed to analyze the structural factors that occurred and present future dire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항도시문화교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