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현희본 『張孝根日記』 비판 -1916년~1920년을 중심으로- (Criticism of Lee Hyun-Hee’s Version of Diary of Jang Hyo-Geun -Focused on 1916 through 1920-)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11
28P 미리보기
이현희본 『張孝根日記』 비판 -1916년~1920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76호 / 91 ~ 118페이지
    · 저자명 : 정욱재

    초록

    이 글은 독립기념관 소장 『장효근일기』와 이현희가 탈초·정리한 이현희본을 비교·검토하여 학계에 통용된 이현희본의 허구성을 밝혔다. 『장효근일기』는 천도교 인사이자 독립운동가인 장효근의 일기로 1916년부터 1945년까지 30년간의 일기를 한문으로 작성되었다. 이 자료는 1975년 이현희에 의해 처음 발굴되어 탈초·정서되었는데, 다 공개하지 못하고1916년부터 1939년까지의 일기만 3년에 걸쳐 학계에 공개되었다. 공개된 이현희본은 당시 학계에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최근까지도 역사학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최근까지 무비판적으로 이용된 이현희본은 원본보다 적게는 30%, 많게는 50% 이상 가필·조작되어 역사학의 자료로 사실상 이용될 수 없는 자료이다. 이현희본은 일제강점기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과 이현희 자신을 비롯하여 1970년대 학계의 연구 성과를 교묘하게 조합하여 나온 위작이다. 즉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같은 1차 사료들을 수집하여 일지식으로 수록된 저술 등에서 해당 날짜의 역사적 사실을 추려내고, 장효근이 기록하지 않은 언행과 생각·평가 등을 더하여 지금의 ‘이현희본’이 탄생한 것이다. 이현희본의 출현으로 인해 아이러니하게도 독립기념관 소장『장효근일기』는 원본임에도 불구하고 점차 연구자의 시야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이런 현상이 나오게 된 이유는 아마 이현희본에 1970년대 학계의 연구분위기에 부응하는 내용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실학-개화사상-독립사상’으로 체계화시켜 독립사상의 원류를 실학으로 연결시키려는 일기의 내용은 당대 실학 연구의 분위기와 잘 맞아 떨어졌다.
    1970년대 근대화의 열기가 강했던 시대적 상황과 그것에 부응하기 위한 역사적 근대성을 ‘실학’에서 찾으려는 학계의 분위기가 이현희본과 같은 희대의 괴작(怪作)을 탄생하게 만든 것일지도 모른다. 이현희본은 역사학의 가장 기본인 사료 비판이라는 작업을 소홀하게 만들었던 시대적 병리 작용의 한 사례라고도 할 수 있다.
    요컨대 최근까지 무비판적으로 이용된 이현희본은 무엇보다 폐기해야할 자료이다. 이현희본이 현재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역설적으로 『장효근일기』와 같은 주요 자료는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 판독·정서하여 간행해야 하는 당위성과 함께 사료 비판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준 것이다. 즉 이현희본에 의해 은폐된 원본 『장효근일기』에 주목하여 본래의 모습과 가치를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사실상 그것을 위한 준비 작업에 불과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ealed the falsity of Lee Hyun-Hee’s Version circulated in academic circles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Diary of Jang Hyo-Geun held in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nd Lee Hyun-Hee’s Version deciphered and reorganized by Lee Hyun-Hee. The Diary of Jang Hyo-Geun is the diary of Jang Hy-Geun who was a Cheondogyo figure and independence activist, and the diary of 30 years from 1916 through 1945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is material was discovered by Lee Hyun-Hee in 1975 for the first time, deciphered and written out fair, and the diary from 1916 through 1939 only was opened to academic circles over three years. Lee Hyun-Hee’s Version drew attention in the then academic circles and has been utilized as a material for historical studies until recently.
    Since 30% or more than 50% of Lee Hyun-Hee’s Version has been modified and manipulated from the original, it cannot be practically used as a material for historical studies. Lee Hyun-Hee’s Version was drawn up with the original Diary of Jang Hyo-Geun as a script, reflecting the materials like 36 Years of History of Korea under Japanese Invasion that sorted out the historical records surveyed and excavated until the 1970s and the research achievements accomplished by academic circles of the time. With the appearance of Lee Hyun-Hee’s Version, ironically, The Diary of Jang Hyo-Geun held in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has gradually grown away from researchers’ eyes though it is the original.
    This phenomenon appeared perhaps because Lee Hyun-Hee’s Version containe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search atmosphere of academic circles in the 1970s. In particular, the content of the diary that would connect the origin of the idea of independence to Silhak (Korean practical scienc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ystematizing it into Silhak through the Enlightenment Thought to independent thought matched the atmosphere of Silhak studies at the time well. The situation of the times in the 1970s, when there was a strong fever of modernization and the atmosphere of the academic circles to find the historical modernity to correspond to that in ‘Silhak’ might give birth to an unprecedented, weird work like Lee Hyun-Hee’s Version. Lee Hyun-Hee’s Version can be said to be a case of pathological action of the times, which pulled researchers away from the job of the criticism of historical records, which is the most basic of historical studies.
    The lesson given to us presently by Lee Hyun-Hee’s Version is that it paradoxically allows u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criticism of historical records again along with the appropriateness that important materials like Diary of Jang Hyo-Geun must be published by a reliable institu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iary of Jang Hyo-Geun concealed by Lee Hyun-Hee’s Version to recover its original look and value. This study is virtually a mere work of preparation for t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2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