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공간(1945년-1947년)의 개천절 봉축 행사와 그 의미 (The Celebration of the Gaecheonjeol(Korean Foundation Day) in 1945-1947 and Its Meani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1.02
30P 미리보기
해방공간(1945년-1947년)의 개천절 봉축 행사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仙道文化 / 30권 / 303 ~ 332페이지
    · 저자명 : 신운용

    초록

    국권회복 이후 개천절 봉축행사는 국내 단군민족주의자들이 중심이 되었다. 이를 먼저 담당한 세력은 대종교인 안재홍의 국민당이었다. 국민당은1945년 10월 3일에 개천절 행사를 개최하고 단기 사용과 개천절 홍보를결의하였다.
    1945년 개천절 행사는 특히 대종교인들이 중심된 단군전봉건회의 출발과깊은 관계가 있다. 단군전봉건회는 대종교⋅조선국술협회와 함께 1945년개천절 행사를 열었다. 이는 대종교인들과 관련이 있는 인사들이 주도하였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개천절이 3.1절⋅광복절⋅한글날⋅예수성탄절과더불어 일요일로 정해졌다. 이는 개천절이 국경일로 정해지는 배경이 된것으로 평가된다. 무엇보다 개천절은 사상적 분열을 통합할 수 있는 장이었다는 데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946년의 개천절 행사의 특징은 전년과 달리 기독교 등 종교단체와 사회단체로 구성된 ‘교화사업중앙협회’가 주도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개천절이대종교만의 행사가 아니라 이제 전민족적 행사로 자리 잡았음을 의미하는것이다. 특히 이승만의 “단군은 신이 아니다.”라는 발언은 1948년 개천절을국경절로 정한 기반의 조성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1947년 개천절의 분위기는 국내외의 정세가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민족국가 건립에 대한 열망으로 고조되어 갔다. 단군전봉건회의 활동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채동선이 「개천가」를 작사하는 등 단군관련 기사가 언론에 자주등장하여 개천절에 대한 열기는 더욱 달아올랐다. 무엇보다 1947년 개천절의 특징은 관이 주도하였다는 점이다. 군정청 문교부는 적극적으로 개천절행사에 각 학교⋅관공서⋅사회단체 등 직능별로 거의 ‘의무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분위기를 조성해 나갔다. 이는 개천절이 완전히 한국사회에 정착되어 오늘에 이르게 된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대일항쟁기의 개천절이 민족의 단결과 정체성 확립 및 대일투쟁 의지를 고무시켰듯이, 해방공간의 개천절도 민족국가 건립과 남북통일의 사상적 바탕이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power in 1945, the celebration of the Gaecheonjeol(korean Foundation Day) was centered on Dangunists(단군주의자들) in Korea. The first force in charge of this was the Kukmin Party(국민당) led by Ahn Jae-hong. On October 3, 1945, the Kukmin Party held a ceremony for the first day of the year and decided to use Danki(檀紀) and to promote the day.
    The 1945 Gaecheonjeol event is particularly closely related to the start of the ‘Dangunjeonbongjeung(단군전봉건회)’. This held together with the ‘Daejonggyo’ and ‘Joseonkuksukhyeobhoe(조선국술협회).’ This means that it was led by the people related to Daejonggyo. In addition, the first day was set as Sunday along with the 3.1jeol, the National Liberation Day, the Hangeul Day, and the Christmas Day. This is considered to have been the background for the national holiday. Above all, the meaning can be found in that Gaecheonjeol was a place to unify ideological divisions.
    Unlike the previous year, the Gaecheonjeol event in 1946 was led by the ‘Gyohwasaeobjunganghyeobhoe(교화사업중앙협회),’ consisting of religious and social groups such as Christianity. This means that Gaecheonjeol is not an event only for Daejonggyo, but is now a national event. In particular, Syng-man Rhee’s remark that “Dangun is not a god”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oundation of the 1948 Gaecheonjeol as a national holiday.
    The atmosphere of Gaecheonjeol in 1947 was heightened by the desire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amid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at home and abroad. Amid the remarkable activities of the Dangunjeonbongjeung, Dangun-related articles frequently appeared in the media, and the aspiration for Dangun was further heightened by Chae Dong-seon’s lyrics of ‘Gaecheonga(개천가)’. Above all, the characteristic of Gaecheonjeol in 1947 is that it was l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 in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of the county government office actively created an atmosphere whereby each function, such as schools, government offices, and social groups, participated in the opening ceremony actively. This was the background in which Gaecheonjeol was completely settled in Korean society and reached today.
    In this way, just as the Gaecheonjeol of the period of uprising against Japan inspir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unity and identity, and the will to struggle against Japan, the Gaecheonjeol of 1945-1947 also served 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and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仙道文化”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