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초반 조선영화 비평사 재검토 (The Re-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Joseon Film Criticism between the Late 1920s and the Early 1930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8
22P 미리보기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초반 조선영화 비평사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2권 / 2호 / 37 ~ 58페이지
    · 저자명 : 하승우

    초록

    이 글은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조선영화 비평사의 핵심 논점들을 재검토한다. 특히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과 <아리랑 후편> 논쟁을 새로운 시각에 입각하여 분석한다. 이 시기는 서구로부터 유래한 사회주의 이념을 받아들이면서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이 본격적으로 개진되었던 시기다.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에 대한 검토는 ‘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동맹’ (카프)에 대한 검토를 필수적으로 수반한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에는 카프의 노선으로 완전히 환원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 글은 서광제, 김유영, 특히 그 중에서도 서광제를 중심으로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과 카프의 복합적 관계망의 의미를 추적하려고 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이 초점을 맞추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하나는,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을 카프 내에서 있었던 대중화운동에서 창작방법론으로의 이행과 관련지어 생각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아리랑 후편>의 논쟁을 재검토하고, 이 논쟁을 현재의 시각에서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글에서의 핵심적인 주장은 영화 제작과 비평 사이에 근본적인 불화, 간격, 거리가 존재한다는 점, 그러나 이러한 불화는 부정적인 계기가 아닌 긍정적인 계기일 수 있다는데 있다. <아리랑후편> 논쟁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 논쟁을 카프 영화인 대 비카프 영화인의 대립으로 보거나, 아니면 영화를 제작하는 진영과 영화를 비평하는 진영의 대립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이 논쟁을 영화 제작과 비평의 근본적인 불화를 사고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대립의 구도에 입각해서 재검토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조선영화 비평사를 새로운 방법과 각도에서 재구성할 수 있는 프레임을 마련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how Joseon film criticism between the late 1920s and the early 1930s was arranged, thus exploring which criteria we need to interpret the multi-layered trends of film criticism during that time. In order to perform this task, we will first explore the trajectory of the Joseon proletarian film movement and then examine how it was influenced by KAPF (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This approach will be taken because it is impossible to outline the Joseon leftist film movement without thinking of KAPF at that time. Despite arguing that the Joseon proletarian film movement of those days was massively influenced by KAPF, this paper, however, also argues that there are different critical points between KAPF members and critics such as Seo Kwang-je and Kim You-young. For example, Yun Ki-jeong, one of the most influential leftist critics in KAPF, criticized Seo Kwang-je because Seo’s theoretical orientation is too abstract and hollow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Joseon film production environment. However, this paper seeks to re-examine the terms and conditions from which we can interpret the dissonance between theory and filmic practice from a different angle. The main point here is that the dissonance works not as an obstacle to be overcome but as a productive condition to trigger diverse, multiple, and even creative cinematic productions in the future. My point is manifested in the re-examination of debates surrounding A Story of the Day after Arirang (Lee Ku-young, 1930). While many have dealt with this debate in terms of the conflict between leftist and rightistfilm movements or the conflict between production and theory, I insist thatthis debate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unbalanced relationship, i.e. adissonance between production and theory, and that this dissonance should beseen as a positive moment in which to think of a renewed Joseon fil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