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28년과 1848년 순원왕후의 진작기물 연구 (A Study on Empress Sunwon’s Jinjak Articles in 1828 and 1848)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06
34P 미리보기
1828년과 1848년 순원왕후의 진작기물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5호 / 247 ~ 280페이지
    · 저자명 : 이아름, 이은주

    초록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절차는 주빈(主賓)에게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진작 과정에 초점을 맞춰 거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치되는 진작기물은 행사의 규모, 목적, 성격에 따라 다르다. 연향이 거행되는 시대적 상황과 맥락을 통해 해당 연향을 파악하고 배설된 기물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순원왕후의 사순과 육순을 경축하기 위해 거행된 1828년 무자 진작의례와 1848년 무신 진찬의례에 사용된 주빈과 진작자의 진작기물 비교를 통해 배설 내용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기물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시대적 상황에 대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첫째, 왕비 순원왕후의 탄일을 축하하기 위한 무자년 진작의례에서는 주빈 왕비 순원왕후의 수주정(壽酒亭)에 배설된 진작기물과 왕 순조의 수주정에 배설된 진작기물이 유사하였다. 주빈은 순원왕후였으나 주빈보다는 주관자의 권위를 드러내는 특징을 보였다. 왕 순조와의 진작기물을 비교해 볼 때, 잔과 받침은 왕과 동일하였으나 술병은 왕의 옥병(玉甁)보다 낮은 등급의 은도금별아병(銀鍍金別兒甁)을 사용하였고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기물과 비교해 보면 술병은 은도금별아병으로 동일하였으나 술잔은 순원왕후가 더 좋은 것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술병에 술을 옮겨 담기 위해 은반루금선(銀半鏤金鐥)과 은이선(銀耳鐥)이 배설되었는데 이는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하는 기간에 거행된 세 번의 진작에서만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무신 진찬의례에서 주빈 순원왕후의 수주정에 배설된 술잔은 진작자인 헌종의 주정에 배치된 술잔과 차이가 있었다. 특히 서배(犀杯)가 수주정에 추가로 배설되었다. 또한 총 3작을 진작하였으나 진작 과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여분의 잔이 있었다. 그러나 서배가 여분의 잔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두 행사 모두 주빈인 순원왕후보다 국왕의 술병이 더 화려하였다. 무자 진작의례에서 왕 순조는 옥병을, 왕비는 은도금별아병을 사용하였으며, 무신 진찬의례에서 왕 헌종은 은일월병(銀日月甁)을, 대왕대비 순원왕후는 은병(銀甁)을 사용하였다. 소재와 형태의 화려한 정도는 옥병, 은일월병, 은병으로 파악되었으며 행사 주빈과는 관계없이 사용자의 위상에 따라 화려한 순서로 배설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무신 진찬의례에서는 진작자인 왕 이하 중궁전 효정왕후와 경빈김씨 순화궁이 주빈보다 화려한 술병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두 번의 행사 모두 주빈의 장수를 기원한다는 표면적인 진작 의도는 동일하나 살펴본 진작기물은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제1작을 왕이 진작한 무신년의 경우 무자년의 진작 과정과 절차는 동일하였으나 진작자의 신분이 왕이었기 때문에 다음 서열의 진작 참여자들의 행위가 달랐다. 또한 주빈이 아닌 왕이 수주를 받는 대상으로 참석한 무자년의 경우 주빈의 수주정에 배설된 기물이 왕의 위상에 맞게 배열되어 왕비 순원왕후의 위상을 강화시켰다. 하지만 왕이 진작자로 참석한 무신년의 경우 진작자의 특정한 기물이 주빈의 것보다 화려하여 대왕대비 순원왕후의 위상은 위축된 것으로 표현된 반면 강화된 왕의 권위를 시각적으로 보여 주었다. 따라서 헌종이 본 행사에서 진작기물을 통해 순원왕후에 대한 내재된 의도를 표출한 것은 아닌가 짐작된다.

    영어초록

    Court banquet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Jinjak process to wish the honored host’s longevity. The articles arranged in this process differed along with the scale, purpose,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event. However, the event organizer’s intention was fully reflect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rget of toast and the organizer. During Muja Jinjak ritual in 1828 and Musin Jinchan ritual in 1848, conducted to celebrate 40th birthday and 60th birthday of empress Sunwon, the characteristics of Jinjak articles arranged in Sujujeong of the honored guest were as follows.
    First, Jinjak articles arranged in the honored guest, the empress’ Sujujeong,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King’s Sujujeong. Only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bottles were different, the other articles were the same. Also, Eunbanrugeumseon and Euniseon were arranged, which did not exist during Musin Jinchan ritual. They were arranged to visualize the user’s authority.
    Second, the glasses arranged in the honored host’s Sujujeong during Musin Jinchan ritual were different from the offerer, the King’s glasses arranged in Jujeong. Also, the glasses arranged in the process of offering total 3 drinks were 4 set, which were not used in Jinjak process, however there were Seobae arranged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honored guest.
    Third, during both two events, the participant, King’s bottle was more elaborate than the empress Sunwon’s bottle, the honored host. In Muja Jinjak ritual, the King used Okbyeong and the queen used Eundogeumbyeorabyeong, and in Musin Jinchan ritual, the King used Eunilwolbyeong and the great empress used Eunbyeong. Splendor of material and shape differred along with the user’s status, Okbyeong, Eunilwolbyeong, and Eunbyeong, accordingly. Particularly, the offerer used more elaborate bottle than the honored host in Musin Jinchan rit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