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요 우울장애 입원환자에서 약물 사용의 변화: 일 대학병원에서 2001년, 2006년과 2010년의 비교 (Changes of Medication Usage in Inpatient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One University Hospital among Year 2001, 2006 and 2010)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10
10P 미리보기
주요 우울장애 입원환자에서 약물 사용의 변화: 일 대학병원에서 2001년, 2006년과 2010년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정신약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정신약물학회지 / 23권 / 4호 / 166 ~ 175페이지
    · 저자명 : 송민규, 우영섭, 전태연, 김광수, 박원명

    초록

    새로운 항우울제의 개발과 더불어 기존 약제에 대한 추가적인 많은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여기에 임상에서의 경험들이 더해져 새로운 치료적 경향이 생겨나고 연구의 관심들이 모아지기 때문에 최근의 치료 경향을 기존의 지식과 비교하여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과 2006년, 2010년의 일 대학병원에서 우울증으로 입원한 환자의 약물 처방 경향에 대한 비교를 통해 주요 우울장애의 치료를 위한 최근의 약물 치료 경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2001년에 자주 사용된 1차 선택약제로는 SSRI, mirtazapine, TCA 순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에는 SSRI, mir-tazapine, SNRI의 순서였다. 1차 선택약제에 대한 교체 약물로 2001년에는 TCA, mirtazapine, nefazodone 순이었고 2010년에는 SSRI, SNRI, mirtazapine의 순이었다. 병합요법으로 2001년에는 SSRI와 TCA의 조합이 가장 빈번히 사용되었으며 다음은 mirtazapine과 TCA, moclobemide와 TCA 순이였다. 하지만 2010년에는 SNRI와 mirtazapine의 조합이 가장 빈번히 사용되었고 다음은 SSRI와 TCA, SNRI와 mirta-zapine의 조합 순으로 사용되었다. 항우울제를 교체할 때까지의 기간은 2001년에는 24.2±11.7일이었으나 점차 감소하여 2010년에는 13.0±8.1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또한 최근 10년 사이에 quetiapine과 lamotrigine 등을 이용한 강화요법이 증가하였으며 정형 항정신병약물의 사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최근 10년 간 우울증의 치료 경향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파악된 약물처방의 경향은 향후 우울증의 치료 전략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ObjectivezzPrescription patterns have changed rapidly due to development of new drugs, results of new researches, and increment of clinician’s experienc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trend of prescription patterns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at a university hospital among year 2001, 2006, and 2010.
    MethodszzWe reviewed the medication usage of in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2001, 2006 and 2010, including antidepressants used as first choice, switching, and combination, and various augmentation agents. And we investigated the time to switching and combination of antidepressant in 2001, 2006 and 2010.
    ResultszzThe antidepressants used as first line drug wer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49.7%), mirtazapine (24.5%), and tricyclic antidepressant (TCA) (4.9%) in 2001, and SSRI (49.4%), mirtazapine (25.6%) and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 (20.2%) in 2006, SSRI (42.7%), mirtazapine (19.5%) and SNRI (18.3%) in 2010 in frequency order. The antidepressants used as switching drug were TCA (33.3%), mirtazapine (25.0%), and nefazodone (16.7%)in 2001, SSRI (35.0%), mirtazapine (35.0%), and SNRI (20.0%) in 2006, and SSRI (50.0%), SNRI (30.0%) and mirtazapine (20.0%) in 2010. As combination treatment, SSRI and TCA combination was used mostly by far in 2001 (51.1%), but in 2006 and 2010, various combination were used. In 2010 year, SNRI and mirtazapine, SSRI and TCA, SSRI and mirtazapine (42.1%, 21.1%, 15.8%, respectively) combination treatment were used in frequency order. The use of typical antipsychotics as augmentation agent decreased and the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10. Most frequently used atypical antipsychotic was quetiapine in 2010. The use of thyroid hormon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006, but the use of mood stabilizer was increased between 2001 and 2010 (p=0.001).
    Conclusionzz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lots of change in prescription patterns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between 2001 and 2010. Especially, these changes could be seen in use of various antidepressants, increment in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and lamotrigine. It can reflect not only the current progress of psychopharmacology and clinical experience, but also the clinical complexity of treatment of de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