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0년의 역사, 200년의 역사, 700년의 역사 – ‘이민국가’ 싱가포르의 건국사, 식민사, 21세기 고대사 (Histories of 50, 200, 700 years - Colonial history, Independent history and Ancient history of the 21st century ‘Diasporic’ Singapor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10
40P 미리보기
50년의 역사, 200년의 역사, 700년의 역사 – ‘이민국가’ 싱가포르의 건국사, 식민사, 21세기 고대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 / 12호 / 221 ~ 260페이지
    · 저자명 : 김종호

    초록

    싱가포르는 1819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스탬포드 래플스에 의해 항구도시로 근대화된 이래 200년 동안 이주민인 중국인과 인도인이 인구 구성의 80%가 넘는 대표적인 이민국가이다. 그러나 중국의 굴기라고 하는 국제정치적 환경과 내부 다양한 인종간 내셔널리즘 이식이라고 하는 내부적 과제 사이에서 이민국가로써 생존을 모색해야 할 상황에 처해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싱가포르 역사서술은 싱가포르 국민들 사이의 동질감, 소속감을 강하게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매개체임에는 분명하지만, 지금까지 200년에 불과한 ‘식민사’라는 싱가포르 역사의 한계가내셔널리즘의 고취에 큰 장애가 된 것 역시 사실이다. 그러나 다인종·다문화 국민국가로 50년의 공화국을 영위해온 싱가포르는 최근 식민지 이전 시기로까지 그 역사서술의 영역을 넓힘으로써 싱가포르 역사의 다양함과 다이나믹함을 강조하려 하고 있다. 특히 학계뿐 아니라 정부 차원에 서 1819년 이전 1300년대부터 존재했던 테마섹(Temasek) 시기 싱가포르의 역사를 고고학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대중들에게 알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싱가포르 역사 속 200년, 50년, 700년의의미를 짚어보고, 이민국가 싱가포르의 21세기 고대사 만들기가 디아스포라 연구에 어떠한 가능성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인지 고찰해 보고자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finding a new possibility of diaspora studies through Singapore case, a nation-state which consists of eighty percent’s Chinese population. In shaping Singaporean nationalism, the rise of China, home country of Chinese Singaporean, as a global power matters through diverse aspects such as South China Sea conflicts,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Sino-US competition. Due to the geopolitical location of Singapore in Southeast Asia and its composition of population, Singapore recently is forced to take side of China as a Chinese descendants-established country. Singapore society has reacted to this external pressure and been concerned about the future of Singapore as a diasporic community in various dimensions. Studying history is one of those movements.
    Singapore history has been regarded by many Singaporeans as ‘nothing to remember’ or just colonial history because its history began with the founding of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 in 1819. It has been studied and believed by the academia and the public that Singapore history only lasted 200 years without any meaningful historical issues during the pre-colonial Temasek, an old name of Singapore island. However, it is clear that this kind of historical perspective on Singapore past would be a great obstacle to bind diverse origin’s Singaporean citizens into a single nation-state. This is the major issue in Singapore society, which politicians and historians of Singapore recently point out.
    To solve this problem, many scholars launch historical projects on covering Temasek period from 1300s as Singapore pre-colonial history. In particular, some archaeological researches only focusing on Singapore’s pre-colonial era from 1300s to 1819 found that before the British coming, Malays, Chinese, Orang Raut(sea people) had lived together in Singapore island through trading. It means that Singapore region has not found and developed firstly by the British but shaped their own political, social, economic community until colonized by the East India Company. Moreover, ISEAS-Yusof Bin Ishak Institute, a leading national research institute concentrating on Southeast Asia recent issues, established “Temasek History Research Center” to increase interests of archaeological finding in Singapore and distribute its achievements to the public. Making 700 years’ Singapore history show us the diaspora group’s new way of transforming ‘host country’ to ‘home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인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