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재삼 시에 드러난 자연의 불교생태학적 의미‒『千年의 바람』을 중심으로 (Nature in Park Jae-sam’s Poetry in the Meaning of Buddhistic Ecology‒Focused on 『천년의 바람』)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9
30P 미리보기
박재삼 시에 드러난 자연의 불교생태학적 의미‒『千年의 바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59권 / 207 ~ 236페이지
    · 저자명 : 김지연

    초록

    본고는 박재삼의 『천년의 바람』을 텍스트로 하여 불교생태학적 관점의 논의를 진행하였다.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재삼 시의 식물이미지는 연기성에 입각하여 세계를 유기적인 전체로 바라보는 전일론적 세계인식의 상징적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연기적 관점에서 자연물들이 자기 자신과 다르지 않다는 不二의 세계관을 드러낸다. 이러한 사유는 인간중심적인 편견을 담고 있던 근대의 이분법적 사고에 대치되는 것으로써, 그의 시는 분리되었던 인간과 자연의 관계 복원을 통해 근대적 인식의 근본적인 전환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중생들은 상호의존의 연기성에 대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하여 상호존중의 자비로 나아가게 된다. 이때 자비를 행하는 보살의 실천 수행도를 가리켜 바라밀이라고 한다. 박재삼 시의 ‘빛’과 ‘바람’은 보살 수행의 바라밀을 잘 구현하고 있어서 주목된다. 그의 작품에서 구현된 바라밀은 불교의 깨달음을 통해 모든 존재들이 상호존중으로 나아가는 상생의 길을 열어주고 있다.
    셋째, 보살은 자아의 테두리를 벗어나 이타적인 자비를 행하는 존재이다. 개체적 자아를 초월한 대자아로서의 인식이 전제되어야 비로소 일체중생에 대한 대비심을 낼 수 있다. 박재삼의 시에 드러난 물은 ‘바다’라는 궁극의 동체대비(同體大悲)를 통하여 삼라만상과 일체가 되는 보살행을 보여준다. ‘바다’는 삼계(三界)를 다 포용하면서도 그 어디에도 집착하지 않는 무주공성(無住空性)이므로 진보살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또한 그것은 우주와 통섭하며 하나가 됨으로써 스스로 대자아를 실현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etic work of Park Jae-sam, 『천년의 바람』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ic ecology.
    First of all, plant images in Park’s poetry is the symbol of holistic world view that regard world as organic wholeness based on ‘Dependent Co-arising’. He reveals the non-dual outlook toward the world that natural objects do not differ from oneself in terms of interdependence. This thinking shows a fundamental switchover of presence awareness by being confronted with the modern dichotomic thought.
    Secondly, through the realization of interdependence, living beings move to mutually respectful compassion. The fulfillment of Bodhisattva showing mercy is called Paramita. ‘Light’ and ‘Wind’ appeared in Park’s poetry is being watched because they skillfully embody the Paramita.
    Thirdly, ‘Water’ in Park’s poetry shows the Bodhisattva-practice through the great compassion of One-body. At this moment, ‘Sea’ embraces the triple realm and has no attachment for any of those worlds, so it has the aspect of Bodhisattva. Furthermore, being united with the universe, it achieves self-fulfill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