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Baltic Memories of East Germans: Between 1952 and 1989, during the Cold Wa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9.04
42P 미리보기
Baltic Memories of East Germans: Between 1952 and 1989, during the Cold War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해항도시문화교섭학 / 20호 / 41 ~ 82페이지
    · 저자명 : 정태흥, 정진성

    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aradox function of the Baltic Sea in East Germany (DDR in the German acronym) between 1949 and 1989.
    The Baltic Sea, divided by the Iron Curtain with military forces stationed on either side has been a sea of conflicts and dividing lines.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required to play the ‘Sea of Peace’ and ‘Sea of the public’ roles.
    In 1953, when the regime promoted tourism on the Baltic Sea for recovering its social - and economic situation, many of the hotels were seized by the government, taken from their private owners under the codename ‘Aktion Rose’. For being the ‘Sea of the public’, all the confiscated hotels were converted into either FDGB (Free German Trade Union Federation) or DDR regime's vacation premises.
    The ‘Ostseewoche Baltic Week’ between 1958 and 1975, demonstrates how the DDR regime invested considerable resources for gaining external political allowance while the population was suffering from economic and resource shortages.
    More than 4.6 million people moved from East Germany to West Germany (BRD in the West German acronym) after WWII in 1945 to German reunification in 1990. The DDR regime tried to halt the mass flight of its people with the barriers in Berlin, the 1400 km inner-German border and 640km sea border with barbed wire, land-mines and standing orders to shoot. Villages near the inner-German border, and sea border system, were heavily-guarded and separated from the outside world. From year to year, the border became more impassable. With tremendous effort, the DDR tried to prevent ‘Republikflucht (fleeing the republic)’.
    Although much attention has focused on dramatic and ingenious methods of escaping the Berlin Wall and inner-German borders, only a smallish number of attempted escapes were reported through the Baltic Sea.
    The Baltic Border coastline was guarded by the ‘Grenzkommando ‘Küste’’ headquartered in Rostock, as well as through civil surveillance, with the help of Stasi, local authorities and border volunteers. For nearly 40 years residents and visitors had to endure a special control system that intended to prevent escape attempts. Strict laws regulated everyday life and tourism activities at the Baltic Border.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Baltic Sea as an invisible sea border and with people's emotional feelings about their daily lives in the Baltic Sea border villages.
    It remains necessary to remind ourselves of the contradictory role of the Baltic Sea on the one hand as a part of the DDR external propaganda, while on the other hand, as a place which specifically commemorates the division of Germany and its victi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항도시문화교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