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he Meaning of the Apartment as Home: through Analysing Everyday Life in Short Stories in the 197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9
14P 미리보기
The Meaning of the Apartment as Home: through Analysing Everyday Life in Short Stories in the 1970s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6호 / 47 ~ 60페이지
    · 저자명 : 이근혜, 안은희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life and space to explore the meaning of home through analysing the apartment in the 1970s.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apartment in the 1970s, but mainly focusing on physical factors, rather than social aspects in microscopic viewpoint. It is essential to analyse daily life to understand home within the culture. Thus, this paper aims to trace how daily life, described in the novels in the 1970s, is experienced by social and spatial context, and how it affects the development of apartments. (Method) This research combines a literature review with theoretical research, seen as complementary ways of exploring embodied experiential socially situated aspects of Korean daily life in an apartment through analysing the short stories in the 1970s. This research focuses on several novelists, particularly, Wanseo Park, Hyun Kim and Hajin Seo, who deal with everyday life in the apartment in the 1970s. The home is a literary space commonly found in innumerable novels. The home in the novels is not a background where the narrative is unfolded but is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which explains a certain period and cultural analysis of the space. Moreover, this research also extends the theoretical context of this thesis by engaging with Western concepts of everyday life; it focuses on Lefebvre (1992), Rita Felski (2000) and Agnes Heller (1984) who deal with everyday life in the way of understanding space. These texts will be used as a framework to support this research. (Results) The apartment is generalised as a typical residential style of the industrialised city of the time and is described as uniformity and instability. Everyday life has changed while living in a completely different space of the apartment, and the apartment lost its symbolism as home. Through analysing the daily life in the apartment, however, this research found several significant issues: 1) the spatial organisation and particular functions in the apartment have developed by Koreans habitual activity, and 2) space is also utilised by Korean social practice, which impacts on spatial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home, and the practices continuously carry on in the contemporary context. (Conclusions) Through analysing these resources, this research discovered several important factors about the apartment that relate to Korean daily life. Short stories described the apartment as a place, which is disconnected from the traditional houses, focusing on the physical aspects of the apartment. Although architectural changes influence on a significant element of Koreans' daily life, space was newly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patterns of daily life, socially established. New forms gradually become familiar and are embodied in the form of another everyday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