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계몽기와 일제강점기 여성 교육 이데올로기의 변모양상 연구- 녀ᄌᆞ독본(女子讀本) (1908)과 중등교육여자조선어독본(中等敎育女子朝鮮語讀本) (1936)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Women's Educational Ideology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Rule - Focusing on “Women’s Reading Book” (1908) and “Secondary Education Wo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4.09
25P 미리보기
근대계몽기와 일제강점기 여성 교육 이데올로기의 변모양상 연구-   녀ᄌᆞ독본(女子讀本)  (1908)과   중등교육여자조선어독본(中等敎育女子朝鮮語讀本)  (1936)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93호 / 91 ~ 115페이지
    · 저자명 : 박수빈

    초록

    본 연구는 근대계몽기와 일제강점기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 교육 이념의 변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근대 최초의 여성용 교과서인 장지연의 녀ᄌᆞ독본 (1908)과 일제강점기 마지막 여성용 교과서이자 조선총독부 공식 교과서인 중등교육여자조선어독본 (1936)이다. 연구는 이 시기 ‘여성’의 개념이 사회정치적 맥락의 영향을 받아 어떻게 다르게 구성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된다.
    근대계몽기 여성 교육은 구국사상과 접목되어 가족과 사회 내 여성의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역할이 강조되었다. 이는 한국 여성의 애국심과 민족정체성을 함양하기 위한 것이었다. 반면 일제강점기에는 ‘양처현모’라는 이념을 통해 여성의 역할을 재정의하였다. 이 시기 교육은 순종적이고 가사에 전념하며 일제에 충성하는 여성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두 텍스트의 비교를 통해 근대계몽기 여성의 적극적이고 민족주의적 역할에서 일제강점기 수동적이고 가정적인 역할로의 전환이 확연히 드러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가족 내 여성의 고정된 성역할과 도덕적 모범에 대한 지속적인 강조와 같은 두 시대 사이의 공통점을 논의하는 동시에 이러한 교육 이념의 근본적인 목적에 있어서 중요한 차이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여성 교육 담론은 일관된 한계와 연속성을 보이면서도 각 시기마다 지배 세력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목표와 방법이 근본적으로 변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개념과 이념 주입을 위한 도구로서의 교육의 기능에 대한 광범위한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s in educational ideology for Korean women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primary texts analyzed in this study are Jang Ji-yeon's "Women's Reader" (1908), the first modern textbook for women, and "Secondary Education Women's Korean Language Reader" (1936), the last textbook for wom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fficially sanctio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study begins by examining how the concept of 'woman' was differently constructed under the socio-political influences of these respective period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omen's education was deeply intertwined with national salvation ideology, emphasizing women's roles as sacrificial and devoted members within the family and society. This approach was intended to foster patriotism and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among Korean women. Conversel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omen's roles were redefined under the ideology of the 'Ryosai Kenbo (良妻賢母)' The educational agenda of this era sought to mold women into obedient figures, dedicated to domestic duties and loyal to Japanese imperialist objectives. A comparison of the two texts reveals a clear transition from the active, nationalist roles assigned to women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to more passive, domesticated rol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also explores the continuities between the two periods, such as the consistent emphasis on women's fixed gender roles within the family and their portrayal as moral exemplars, while simultaneously highlight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nderlying purposes of these educational ideologies. While the discourse on women's education exhibits certain limitations and continuities, its goals and methodologies are fundamentally altered in each period to align with the objectives of the prevailing ruling power. These shifts reflect broader societal changes in the perceived role of women and the use of education as a mechanism for ideological indoctr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