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성의 붓[筆] 아래 놓인 唐代 女性 - 再現 양상 및 생산과 소비 측면에서 본 당대 仕女畵 - (Women under Men’s Brushes: Representation, Production, and Cultural Consumption of Painting of Court Ladies in the Tang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6
31P 미리보기
남성의 붓[筆] 아래 놓인 唐代 女性 - 再現 양상 및 생산과 소비 측면에서 본 당대 仕女畵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06권 / 306호 / 163 ~ 193페이지
    · 저자명 : 소현숙

    초록

    본고는 당대 사녀화를 재현된 공간, 이미지의 재현 양상, 그리고 생산과 소비 등의 세측면으로부터고찰하였다. 특히 사녀화가 민간에서 성행하는 8세기 중반 이후에 주목하고, 이 시기 사인층과 기녀의사녀화 감상 및 소비 양상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나아가 공적 공간에 놓이는 사녀화의 성격과 기능을 분석하여여기에관철되는이데올로기를구명했다.
    고분벽화 속사녀화는 유교의 ‘남녀유별’ 관념을 반영하고 있으며, 사녀화 속여성 이미지는 대부분전통적인 ‘婦德을 갖춘 요조숙녀’였다. 비록 騎馬仕女畵 같은 예외가 존재했지만, 당대 사녀화 전반에는 남성적시선과욕망이깊이관철되고있었던것이다.
    경제 발달로 인한 도시의 성장과 함께 번성한 妓樓文化 및 과거제의 발전으로 인한 사인층의급격한 증대는 사녀화 발전의 동력이었다. 기녀와 사인들은 병풍과 畵障의 형태로 제작된 사녀화의 주요소비자였다. 그러므로 사녀화에는 두 계층, 즉 여성과 남성의 욕망이 혼재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직업의속성상기녀의욕망은사인들의그것에속박되었을것이다. 한편,공공공간에출현하는사녀화는 비록 美人의 모습으로 재현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鑑戒’와 ‘敎化’라는 열녀도의 전통적 성격을갖고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painting of court ladies from the Tang dynasty, closely examining its pictorial space, mode of representation, and production and cultural consumption. Particular attention will be paid to the mid-eighth century and subsequent decades, the period which witnessed a full-fledged popularity of the genre, and to a thorough analysis of how men of letter and women of entertainment viewed and enjoyed it. A further analysis will be on ch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painting of ladies that was on public display, aiming to illuminate underlying ideologies.
    Female figures of tomb paintings, for example, were placed in an inner space of a house, which reflects a dominant Confucian doctrine of “distinction between genders” that demarcates the inner/outer or woman/man boundaries. Even though the Tang dynasty is referred to as an open society having imposed less confinements on women than any other periods, the images of women cling to a conservative prototype Yaotiao shunü or lady of grace and virtues. It is true that a painting like Court Ladies of Guo on a Spring Excursion, which portrays women sitting astride horses, is extant. However, the scroll should be considered an exception; Rather many other surviving examples of the genre embody men’s gaze and desire.
    In the Tang dynasty, economic prosperity led cities to grow and a culture of entertainment and banquets to flourish. A sub-culture of courtesan’s chambers also thrived in the cosmopolitan milieu, forming a liaison with the literati class that had been surging to elite statu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bond served as a powerhouse in the development of the painting of court ladies. The professional ladies and the lettered elite were main audiences, together appreciating or commenting on the noble ladies— depicted on screens or banners—in an open space such as a courtesan chamber or a banquet hall. It seems plausible therefore that male and female desires were embedded alike in the paining; Given the nature of the latter’s profession, however, the desires of courtesans would have been subordinate to those of men.
    Interestingly, the painting of court ladies carries didactic and edifying functions even when it merely represents a beauty. Since the moralistic denotation was in line with a Han dynasty tradition of painting chaste ladies, it should be assessed that the painting of court ladies from the Tang dynasty was not able to go outside the purview of Confucian ideaologies. Nor was it even when a viewer saw nobody but a Chinese bel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