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계몽기 여성의 호명과 교육, 그리고 『片片奇談警世歌』-<녀자교육편>을 중심으로- (The Interpellation and Education of Women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nd "Pyeonpyeongidamgyeongseg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08
26P 미리보기
근대계몽기 여성의 호명과 교육, 그리고 『片片奇談警世歌』-&lt;녀자교육편&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71호 / 37 ~ 62페이지
    · 저자명 : 신성환

    초록

    본고의 목적은 근대계몽기에 출간된 가사작품인 『편편긔담(片片奇談) 경셰가(警世歌)』(1908)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인식을, 당대의 여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데에 있다. 근대적 삶이라는 거대한 변혁이 태동함과 동시에 국가적 위기감이 점차 고조되던 이 시기에 우선적으로 요구된 역사적 사명은 근대적인 정치체제를 구축하는 것에 있었고, 그 과정에서 핵심적 과제로 떠오른 것이 바로 ‘계몽’을 통한 ‘국민 만들기’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은 국민의 영역에 포섭되면서 교육-계몽-의 대상으로 새로이 호명되었지만 그 방향성은 여전히 전근대적인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이러한 의식 혹은 무의식의 발현은 교육의 주된 주체였던 남성에게서만이 아니라 여성 내부에서도 강하게 작동되고 있었다. 근대적 계몽 의식의 급격한 추동은 어떤 면에서는-특히 여성의 교육과 관련된 면에서는 더더욱- 전근대적 인식과 강하게 결부되어 있었던 것이고, 계몽의 주된 도구로 사용되었던 문학의 영역에도 이러한 모습이 나타났다.
    19세기부터 널리 유행했던 『초당문답가』의 이본인 『편편긔담경셰가』는 가사라는 전통적 양식을 취하고 있으며,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도 유교적 윤리를 설파하는 등 다분히 전근대적인 면모가 엿보인다. 하지만 『편편기담』에만 존재하는 <여자교육편>에 이르면 근대계몽기라는 시대적 향기를 진하게 느낄 수 있다. <녀자교육편>은 전체가 4구 13행으로 이루어져 있어 길지는 않지만, 점층적인 구도 속에서 작자의 인식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논의의 핵심을 서두에 제시하고, 서구 문물의 수혜를 받은 여성에 대해 ‘외형 묘사 → 행태 묘사 → 일본의 작태 → 잘못된 교육이 결과’라는 단계를 거치면서 비판의 수위를 높여간다. 이를 통해 작자는 여성을 교육해야할 대상으로 명확히 인식하고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고는 있지만, 교육의 내용은 어디까지나 전근대적인 것에 머물러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요컨대 교육을 통해 국민화해야 한다는 근대적 발상에 의해 ‘여성’은 새롭게 호명되었지만, 그들에게 부과된 교육의 내용은 어디까지나 전근대적인 것이 중심을 이루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적 인식은 당대인들에게 널리 향유되었던 친숙한 문학작품에도 영향을 끼쳤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resentation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bout women related to women education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showed in “Pyeonpheongidamgyeongsega”(1908) published by Bomunsa. ". In the time when Overwhelming changes of a modern way of life began to emerge along with nation's mounting sense of crisis, the most emergent historical obligation was to establish the political system. In the process of this, the key subject was 'nation making' through 'enlightenment'.
    In this situation, women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er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enlightenment. However, their social status remained unchanged and their thinking was still held in the past. This manifestation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had had a great impact onnot only men who took in charge of women education but also women themselves. The drastic changes of modern enlightenment were strongly connected to outdated perspectivesespecially in relation to women education. Also this must have been expressed in literary works used as tools of enlightenment.
    "Pyeonpyeongidamgyeongsega" examined in this presentation is the different version of "Chodangmundapga" which was so popular from 19century that had a tradition style of Gasa and spread Confucianism exposing pre modern characteristics. However, 'the sectionof women education' which only appeared in “Pyeonpheongidam” clearly revealed the impact of modern enlightenment. "The section of women education" was made up of 4 passages 13 lines and revealed the writer's perception in a gradual form. The main theme of the poem appeared in the beginning part and criticized women who were benefited from western culture through the steps of 'appearance description → behavior description → description of Japan's unscrupulous behavior → the miseducation of women'. Through this, the writer clearly recognized women a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But the contents of education remained traditional.
    In short, an attempt to recognize women as individual subjects was made, which resulted in making women as the subject of education. However,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focused on a pre modern way of thinking and its double standards created a great impact on literary works which were popular at that period of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