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 -관비(官婢)와 열녀(烈女)를 중심으로- (The Locality of Women -Female slaves and Virtuous women of Northern region in the late Choson period-)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0.06
41P 미리보기
조선후기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 -관비(官婢)와 열녀(烈女)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호 / 104 ~ 144페이지
    · 저자명 : 장유승

    초록

    이 논문은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을 밝히고자 서북지역의 관비와 열녀에 대한 기록을 검토한 것이다. 이 논문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두 가지 사건이다. 첫째는 1583년(宣祖16)에 일어난 이른바 ‘옥비(玉婢)의 란(亂)’이다. 이 사건을 통해 서북지역 관비의 쇄환이 체제 유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사료에 나타나는 서북지역 관비에 대한 기록을 검토함으로써 관비에 대한 신분적, 제도적 구속을 살피고, 관비의 이탈과 축첩이 남성관료의 축첩욕구와 관기의 신분상승욕구가 결합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서북지역은 관비에 대한 체제의 억압이 더욱 뚜렷이 드러나는 곳으로, 관비의 이탈과 축첩은 신분제도와 국가운영의 구조적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둘째는 1734년(英祖10)에 발생한 남병사(南兵使) 이의풍(李義豐) 피습 사건이다. 이 사건에 대한 중앙문인과 지역문인의 상이한 시선은 서북지역 여성을 입전한 열녀전에서도 드러난다. 성리학적 이념을 추종하는 지역문인이 묘사한 서북지역의 열녀는 이념적 산물로 포장된 보편적 여성상이다. 하지만 중앙문인이 묘사한 서북지역의 열녀는 성리학적 이념의 보급이 늦었던 지역사회의 실상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들이 묘사한 서북지역 여성의 열행은 여성에게 부과된 이념적 의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인간을 위한 의리에서 비롯된 자발적 행위에 가깝다. 이러한 열행은 지역사와 지역문화적 특성을 고려할 때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간주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literary works about female slaves and virtuous women in the northern region to investigate the locality of women in the northern region.
    Focus of this thesis is put on 2 incidents. The first one is agitation of Okbi(玉婢) in 1583. It was confirmed that compulsory repatriation of female slaves in the northern region was closely related to maintenance of power system in the region.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protest of female slaves and concubinage were the result of the desire of male officials for having concubines and the desire of female slaves for ascension of their social status. In the northern region, institutional constraints on female slaves were clearly shown, so protest of female slaves and concubinag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aspect of the social system and management of the state.
    The second one is the attack of Lee, Ui Pung(李義豐), a provincial military commander of the northern region in 1734.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attack between central literati and local literati were revealed in the 'Stories of Virtuous Women'. The image of virtuous women in the northern region described by local literati was a common image of women which was a product of the ideology. However, image of virtuous women described by central literati was rather voluntary actions caused by loyalty of a human towards other human than actions caused by ideological obligations imposed on women. Such virtuous actions can be regarded as an example of locality of women in the northern region when they are considered in the light of histor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