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의 吉再 追崇과 백성 교화 - 烈女 藥哥 이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verence of Gil-jae in the Late Chosun Dynas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4.10
32P 미리보기
조선 후기의 吉再 追崇과 백성 교화 - 烈女 藥哥 이야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92호 / 73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훈식

    초록

    조선왕조 전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吉再 追崇은 시기에 따라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그 변화 가운데 백성 교화와의 연관성에 관해서 살피고자 한다. 15세기까지 길재 추숭은 백성 교화와 아무런 관계도 없었다. 그러나 16세기 후반기부터 길재 추숭이 백성 교화라는 문제와 관련을 맺기 시작했으며, 조선후기의 길재 추숭에서 이 내용은 아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길재를 추숭할 때 烈女 藥哥를 거론하는 사실에서 명확하게 살필 수 있었다.
    세종 때 열녀 약가가 알려졌을 때부터 중종 때까지 약가 이야기와 길재 이야기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같은 마을에서 같은 시기에 살았던 인물이지만 두 사람의 이야기는 별개로 전해지고 있었다. 17세기 초엽에 갑자기 이 두 사람이 한 이야기 속에 같이 등장하였다. 길재가 백성을 교화한 대표적인 사례로 약가가 거론되었다. 약가의 이야기 속에는 그가 길재로부터 감화를 받았음을 강조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길재의 행실에 감화를 받아, 혹은 그의 가르침을 받아 같은 마을에 살던 아낙네가 貞節을 실천했다는 이야기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 이야기를 ‘吉再-藥哥’ 談論이라고 불렀다.
    이 ‘길재-약가’ 담론이 성립한 배경에는 지배층의 백성 교화에 대한 관심이 놓여 있었다. 지배층이 백성 교화에 본격적인 관심을 갖기 시작한 시기는 16세기부터였다. 이런 추세 속에서 길재 추숭에도 백성 교화에 대한 관심이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이웃에 살던 약가가 길재에게 감화를 받아 守節하였다는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길재 이야기와 약가 이야기가 길재의 교화와 약가의 감화라는 내용으로 하나의 이야기 속에 등장하게 된 것이다.
    17세기 초엽에 그 모습을 명확하게 드러낸 ‘길재-약가’ 담론은 이후 길재 추숭의 기본 내용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특히 17세기 이후 편찬된 私撰 史書 속에서 이 ‘길재-약가’ 담론이 계속 재생산되었다. 그 담론 속에서 길재는 이웃 주민들에게 도덕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鄕先生’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길재-약가’ 담론은 길재가 ‘충신 길재’ ‘도학자 길재’로서 뿐만 아니라 ‘향선생 길재’로서도 추숭되었음을 알려준다.

    영어초록

    The Appearance of Reverence for Gil-jae(吉再) had been experienced chang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his article researches the changes in an aspect of the edification of people. There had been no relationship with reverence for Gil-jae and the edification of people until 15th century. However, since in the late 16th century, reverence for Gil-jae was connected with the edification of people. Furthermo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Gil-jae was recognized as very important figure in the edification of people. We can also find out these changes in the story of Yak-ga(藥哥), the virtuous woman.
    Yak-ga was contemporary of Gil-jae and they lived in same town. The virtuous story of Yak-ga had become known to people since the era of King Sejong. Until the era of King Joonjong, there had been no relationship with the story of Yak-ga and Gil-jae. However, in the early 17th century, Gil-jae suddenly appeared in the story of Yak-ga as an example of virtuous behavior. In the new version of story, Yak-ga’s virtuous behavior was influenced by Gil-jae. And this story was treated as one of the Gil-jae’s achievements.
    Since 16th century, the governing classes of the late Chosun Dynasty had become interested in edification of people, and this interest was the reason why they revised Yak-ga Story. In the 17th century, Yak-ga story successfully reproduced and became an essential part of Gil-jae’s achievements. Through this alteration, Gil-jae had become revered not only as ‘Dohak-ja(道學者)’ but also as ‘Hyang-seon-saeng(鄕先生)’.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