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한국의 여성 공론장 형성과 『여자지남(녀ᄌᆞ지남)』 발행 (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for women in modern Korea and publication of Yeojajinam)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07
41P 미리보기
근대 한국의 여성 공론장 형성과 『여자지남(녀ᄌᆞ지남)』 발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62호 / 48 ~ 88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초록

    『여자지남』은 근대 초 여성 공론장이 형성되어 가던 과정에서 창간된 여성잡지였다. 1908년 5월 25일 창간호인 제1호가 발행되었으나 제3호를 마지막으로 폐간되었다. 최근까지 잡지 실물은 제1호만 전해져 연구에 활용되어 왔고, 제2호와 제3호는 발간 사실만 확인될 뿐이었다. 그런데 근래 『여자지남』 제2호의 실물이 발굴되어 근대 여성 담론과 여성 공론장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기존 자료인 『여자지남』 제1호와 함께 신자료인 『여자지남』 제2호를 분석하여 여자보학원과 양원학교 설립과 운영, 『여자지남』의 발행을 둘러싼 여자교육회와 여자보학원유지회의 갈등과 대립을 실증적으로 보완했다. 다음으로 『여자지남』 제1호와 제2호를 서지학적으로 분석, 정리하였다. 제1호의 경우 발행소가 여자보학원이었으나 제2호는 양원학교로 명기되어 있다. 이는 여자보학원 유지회측이 여자교육회측과의 갈등 속에서 여자보학원을 양원학교로 변경하여 운영하는 한편 잡지 간행도 지속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제1호와 제2호는 잡지 발행 및 편집 주체, 잡지 체제나 구성, 기사 주제, 집필진 등에서 큰 변화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1905년 이후 여성 공론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어 과정과 그 과정에서 『여자지남』의 발행이 가지는 의의, 여성 공론장으로서 성격 등을 분석했다. 1905년 이후 많은 신문과 잡지가 발간되었으나 발행과 편집, 주요 필진은 여전히 남성 중심이었다. 또 근대적 교육을 받은 여성들이 증가하면서 신문이나 잡지의 여성 독자층이 두텁게 형성되어 갔지만 여성이 필자로서 참여하는 경우는 여전히 소수에 불과했다. 『여자지남』은 제1호와 제2호를 분석한 결과 잡지 발행자 및 편집진은 남성이었지만 주요 필진은 여자교육회, 여자보학원과 양원학교 관련 여성 교육가, 개혁가, 그리고 여학교 학생들로 여성 필진의 비중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자지남』은 잡지 발간 목적, 독자층, 기사의 주제와 내용, 여성 필자의 비중 등을 살펴봤을 때 여성 공론장으로서 성격을 분명히 드러냈다.

    영어초록

    Yeojajinam was a women's magazine that was launch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women's public sphe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Until recently, only the first issue of the magazine was found as a hard copy and used for research, and only the fact of publication of issues 2 and 3 was confirmed. However, issue 2 has been discovered lately and it has been able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s of modern women's discourse and research on women's public sphere.
    First of all, this study empirically supplemented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ove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chools and the issuance of Yeojajinam between the Association of Women's Education and Yeojabohakwon by analyzing Yeojajinam issue 2, the new material with issue 1.
    Next, issues 1 and 2 of the Journal were analyzed and arranged bibliographically. Yeojajinam issue 1 was published by Yeojabohakwon, but the publisher of issue 2 was Yangwon School. This was because the Supporting Association of Yeojabohakwon changed the name of school from Yeojabohakwon into a Yangwon school due to the conflicts with the Association of Women's Education and continued to publish the journal.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women's public sphere in earnest after 1905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ssuance of Yeojajinam and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as the public sphere of women. Although many newspapers and magazine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05, the publication, editing, and writing staff were still male-dominated.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women who received modern education increased and the female readership of newspapers and magazines grew thick, but there were still only a few cases where women participated as writers. As a result of analyzing issues 1 and 2 of Yeojajinam, the publishers and editors of the magazine were male, but the main writers were female educators, reformers, and students related to the Association of Women's Education, Yeojabohakwon and Yangwon School.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purpose of publication of the magazine, the readership, the topic and content of the article, and the proportion of female writers, the journal clearly revealed its character as a public sphere for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