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末淸初 仕女畵에 나타난 妓女 이미지 고찰 (A Study of the Courtesan Images in Sanyŏhwa during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4.06
28P 미리보기
明末淸初 仕女畵에 나타난 妓女 이미지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22권 / 322호 / 93 ~ 120페이지
    · 저자명 : 박청아

    초록

    본 논문은 명말청초 사녀화에 나타난 기녀 이미지를 고찰하여 기녀들에 대한 다양한 시선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명말청초에는 강남의 경제적 번영을 바탕으로 유흥문화가 성행하였고, 이름난 명기들과 지식인들 또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우아한 분위기와 뛰어난 재예를 지닌 기녀들은 당시의 지식인들에게 미인의 전형으로 떠올랐다. 지식인들은 자신들의 물질문화에 대한 담론 속에 미인을 포함시켰는데, 여기서 미인이란 당대의 名妓들이 주요 대상이 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미인이 신분을 초월한 학식과 인품, 다양한 재능과 매력을 지닌 이상화된 여성을 지칭한다면, 명말청초의 기녀는 이러한 미인의 모습에 부합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었다. 사녀화에서 그녀들은 시·서·화에 뛰어나고 다양한 재능을 지니고, 때로는 은자의 모습으로, 때로는 명말을 추억하는 회억의 대상으로 표현되었다. 기녀의 이미지에서 성적이고 세속적인 이미지를 지우고 그녀들을 이상적인 여성으로 탈바꿈시킨 것은 명말청초 지식인들이었다. 그들은 기녀들과 교류하며 그녀들에게 자신들의 취향과 처지를 투영하여 보편적인 미인 이미지를 만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Sanyŏhwa (仕女畵, Painting of Court Ladies) from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aiming to unravel the various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associated with courtesans. During these periods, economic and commercial growth in Jiangnan (江南) spurred a thriving entertainment culture, fostering intimate bonds between celebrated courtesans and intellectuals. Known for their refined poise and exceptional talents, courtesans were lauded as the epitome of beauty by the contemporary elites who frequently discussed the beauty (美人, meiren) within the broader discourse of material culture, with courtesans likely serving as the primary subjects.
    If the term ‘beauty’ implies an idealized woman with knowledge, admirable character, and various talents and charms regardless of their status, then the courtesans of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embodied this ideal. In Sanyŏhwa, they were depicted as adept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ereby demonstrating a wide spectrum of artistic talents. At times, they appeared as recluses; at other times, as symbols of nostalgia for the late Ming era. The intellectuals of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transformed the images of courtesans from overtly sexualized and worldly figures to idealized women. Through their interactions with courtesans, they projected their own tastes and circumstances onto them, thus creating a universal image of beau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