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누법전』과 『여사서』를 통한 여성코드 읽기 (Reading the Codes for Women through the Manusmṛti and Nüsishu (『女四書』))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6.05
42P 미리보기
『마누법전』과 『여사서』를 통한 여성코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도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연구 / 21권 / 1호 / 137 ~ 178페이지
    · 저자명 : 박금표

    초록

    본 논문에서는 『마누법전』과 『여사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인식, 규제 그리고 여성상을 비교 검토했다. 여성에 대한 인식에서의 공통 코드는 독립성 부정, 나라와 가문을 망칠 수 있는 유혹적 특성, 유약함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점의 원인에 대하여는 다른 견해를 드러냈다. 『마누법전』에서는 여성의 본성이 악하기 때문이라고 규정한 반면에 『여사서』에서는 본성의 문제가 아니라 나쁜 습성이 문제라고 보았다. 또한 『마누법전』에서는 아내는 남편에게 절대 복종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여사서』 역시 유사한 규정이 있지만 남편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에는 충고를 해서 이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권고한 차이가 있다.
    『마누법전』과 『여사서』 모두 남편 존중, 내외 구별, 일부종사를 위해 여성의 행동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규제의 구체적 내용은 조금씩 다르다. 『여사서』에서는 남편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남편이 잘못된 일을 하는 경우 아내는 공손한 태도로 충고를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마누법전』에서는 남편의 뜻을 거스르는 여성의 발언권 자체를 차단하고 있다. 또한 내외를 구별해야 하는 근거 역시 다르다. 『마누법전』에서는 ‘유혹의 가능성’을 내외 구별의 근거로 삼고 있지만, 『여사서』 에서는 ‘무리가 다르다’는 것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내외 구별의 범주와 대상이 서로 다르다. 또한 일부종사를 강조하여, 몸을 쇠약하게 하거나, 얼굴을 훼손하거나, 목숨을 끊는 등 정절을 지키기 위한 모든 행위는 정당화되거나 칭송되는 공통점이 있다.
    힌두교와 유교 문화권 모두 정절을 지킨 여성을 이상적인 여성으로 여기는 공통의 코드가 있다. 이러한 경향이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동안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공통점이다. 그러나 『여사서』에서는 이상적인 여성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여성 교육서가 꾸준히 저술된 반면에, 『마누법전』에서는 이상적 여성상을 위한 교육이 논의되지 않았고, 여성을 교육에서 배제했다. 또한 유교 문화권과는 달리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아내로서의 여성상만 거론될 뿐 어머니로서의 여성상은 거론되지 않았다.

    영어초록

    Recognitions, regulations and images of the women shown in Manusmṛti and Nüsishu are compared in this study. What are common in recognition of women are: non-acceptance of women’s independence, their seductive characteristics which are prone to destroy their countries and families, their weakness, etc. But we can find different points of view on the causes by which these common points are brought. It is regulated in Manusmṛti that women are evil in their nature. However, it is insisted in Nüsishu that the problems are caused not by their nature but by their bad habit. Also, it is regulated in Manusmṛti that women should be absolutely obedient to their husbands. Even though Nüsishu has similar regulations, it is recommended in Nüsishu that, when their husbands do something wrong, women should advise their husbands to correct it.
    The common codes for how women should behave are as follows: Wives should respect their husbands. Men and women should keep away from each other. Women should serve but a single husband. But details in regulations are a little different. Even though it is emphasized in Nüsishu that wives should be obedient to their husbands, it is also emphasized that they should advise their husbands with polite attitudes when their husbands do something wrong. But Manusmṛti does not allow women to speak against their husbands. Also, the grounds are different for which men and women should keep away from each other. ‘Possibility of seduction’ is the ground for that in Manusmṛti. But ‘a group of women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one of men’ is the basis for that in Nüsishu. Therefore, it is different for the category and the target that men and women should keep away from each other. As serving but a single husband is emphasized in both of Nüsishu and Manusmṛti, it is also common that all the women’s acts to maintain their chastity are justified or praised, such as making their bodies weak, making their faces damaged, committing suicide, etc.
    In both Confucian and Hindu cultures, there are common codes idealizing the woman who protects her chastity. Also, it is common that this tendency has been reinforced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ones. But it is emphasized in Nüsishu that educ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foster ideal women. Also books on women’s education are constantly published in Confucian cultures. On the other hand, education for ideal women is never discussed and women are excluded from education in Manusmṛti. Also, ideal women as wives are mentioned in Hindu cultures but the ones as mothers are never done, which is different from Confucian cul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