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신녀』의 영화화에 나타난 1970년대 한국 문화의 젠더 정치 ― 소설 『독신녀』와 영화 <독신녀>의 관계적 규범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ender Politics of 1970s Korean Culture in the Film Adaptation of Dogsinnyeo - Focused on the Changes in Relational Normativit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Novel and Film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4.09
33P 미리보기
『독신녀』의 영화화에 나타난 1970년대 한국 문화의 젠더 정치 ― 소설 『독신녀』와 영화 &lt;독신녀&gt;의 관계적 규범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99권 / 211 ~ 243페이지
    · 저자명 : 정미선

    초록

    이 연구는 전병순 소설 『독신녀』의 영화화를 분석하여, 1970년대 문화의 젠더 정치 작동 양상과 의미망을 규명한 결과다. 『독신녀』는 비혼 여성 박월라의 비혼 출산에 대한 이 념을 바탕으로 한 청년기에서 중년기까지의 삶을 성찰한 1970년대의 돌올한 문제작이다. 본고는 소설이 영화로 매체전환되는 과정에서 전병순의 원작소설·송길한의 검열대본·문여송의 영화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고, 그 밖의 문화사적 자료를 맥락화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독신녀』의 영화화 과정은 원작소설의 불온성이 순치되는 경로와 함께 1970년대 문화의 젠더 정치적 균열과 분규를 보여준다. 핵심 변인은 검열과 장르적 문법에 있다. 영화 <독신녀>는 유신체제 문화검열에 따른 우회로를 탐색하고, 당대 대중문화로서 영화 매체에 기대된 멜로드라마 장르 모티프에의 조응을 통해 여성 인물의 신체성·주체성·관계성을 재편한다. 둘째, 『독신녀』의 영화화 결과는 인물·성애 재현 전략에서 주요 차이를 보인다. 여성 인물의 선택과 이념이 후경화되면서 구조적 피해자의 위치성과 신파성이 강조된다. 이는 당대 사회의 젠더 정치적 화두인 사생아·호주제·성폭력의 문제를 부각하면서, 동시에 독신 여성·생계부양자 여성·여성의 계급성·성 모더니즘의 화두는 탈각시킨다. 성애 재현 전략에서는 박월라와 결합하는 세 남성 인물들의 전형화 및 여성 인물의 섹스·친밀 관계·재생산·모성에 대한 선별적 채택이 두드러진다. 이는 당대 젠더 정치의 장에서 국가와 계급, 가족체제와 남성성의 특정 조합에 기초한 관계적 규범의 재생산이 새마을(발전주의) 이데올로기에 노정된 국가주의적 가부장제에 복무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전병순 소설의 영화화에 나타난 젠더 정치적 현상들은 1970년대 문화의 젠더 정치를 조형하는 중층적 담론 요소들과 작동 양상을 추적하게 하는 징후적 텍스트로서 전병순 소설의 매체전환을 호명한다. 이는 1970년대 문화의 젠더 정치적 풍경을 다원화하면서, 동시에 1970년대 문학의 젠더 정치를 상상하는 경계와 범주를 심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film adaptation of Jeon Byeong-soon’s novel Dogsinnyeo to determine the operation and meaning of gender politics in 1970s Korean culture. Dogsinnyeo is a unique and controversial novel from the 1970s, reflecting the life of Park Wol-ra, a voluntary single woman, from her youth to middle age, based on her ideology of non-marital childbirth. This study analyzes Jeon Byung-soon’s original novel, Song Gil-han’s censored script, and Moon Yeo-song’s film text, contextualizing them with other cultural and historical materials in the process of the novel's medium transition to film. The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process of film adaptation reveals the cracks and splits in the gender politics of the 1970s Korean culture, along with the unrestful path of the original novel. The key variables are censorship and genre conventions. The film Dogsinnyeo explores the detours taken by cultural censorship under the Yushin regime and reorganizes the physicality, subjectivity, and relationality of female characters by adapting them to the melodramatic genre motifs expected of the film medium as the popular culture of the time. Second, the film adaptation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ategies used to depict characters and their sexuality. While the choices and ideologies of female characters are relegated to the background, the locations of structural victimization and sinpasung are brought to the forefront. This emphasizes key gender-political issues of the time— illegitimacy, hojuje(patriarchal family registration system), and sexual violence—while downplaying topics like single women, breadwinners, women's social class, and sexual modernity. Furthermore, in terms of sexual representation, the film highlights the typification of three male characters who have intimate relationships with Park Wol-ra, while selectively adopting sex, intimacy, reproduction, and motherhood in the portrayal of female characters. This demonstrates how the reproduction of relational normativity, based on a particular combination of state, class, family system, and masculinity in the gender politics of the 1970s served the nationalistic patriarchy rooted in the Saemaul(developmentalist) ideology.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the transmedialization of Dogsinnyeo as an indicative text, tracing the layered discursive elements and modes of operation that shaped gender politics in the 1970s. It pluralizes the gendered political landscape of 1970s Korean culture, while simultaneously questioning the boundaries and categories through which we envisiongender politics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