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貧女養母’條에 나타난 賣身의 불교적 수용맥락과 의미 (A Study on the Buddhist Acception of the “Selling Oneself” Motif and its Meaning in Binnyeo-yangmo[貧女養母])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6.04
23P 미리보기
‘貧女養母’條에 나타난 賣身의 불교적 수용맥락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50호 / 39 ~ 61페이지
    · 저자명 : 신호림

    초록

    본고에서는 『삼국유사(三國遺事)』 「효선(孝善)」편에 수록된 ‘빈녀양모(貧女養母)’조(이하 <빈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매신(賣身)’이라는 희생효(犧牲孝) 화소가 불교적 맥락으로 수용되는 과정과 그 의미를 구명하고자 했다. <빈녀>를 그 자체로 불교서사로 규정하던 선행연구의 시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효행담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빈녀>가 불교서사로 재편되는 과정에 주목한 것이다. 그 재편의 과정을 ‘불교적 포섭’으로 보고, 특히 매신 화소를 중심으로 <빈녀>에 접근했다. 매신 화소를 매개로 효행담이 불교서사로 포섭되는 과정을 살폈을 때, <빈녀>를 「효선」편에 수록한 일연(一然)의 의도까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빈녀>에서 매신 행위는 가난이라는 경제적 결핍상황에서 눈 먼 모친을 봉양하기 위해 일어난다. 모친을 위한 매신 행위가 오히려 모친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는 점에서 ‘이효상효(以孝傷孝)’의 역설이 드러나며, 이 역설이 효종랑(孝宗郞)과 진성왕(眞聖王)의 인위적인 개입을 통해 해소됨으로써 하나의 효행담이 완성된다. 이때 <빈녀>는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列傳)」소재 <효녀지은(孝女知恩)>과는 다르게 양존사(兩尊寺)의 건립이라는 사건을 서사 후반부에 끌어들임으로써 희생효 화소로 등장한 매신 행위를 불교적 사신시(捨身施)로 인식하게 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보살행(布薩行)이 현실적으로나 이념적으로나 평민들이 실천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됨으로써 불교 사상과 평민들 사이의 괴리가 깊어지는 가운데, 일연은 그 간극을 줄이기 위해 <빈녀>와 같은 민간의 효행담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빈녀>는 그 포상의 규모를 봤을 때 희생을 통해 현세구복(現世求福)을 이룩한 이야기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이는 <빈녀>가 고려시대까지 전승된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일연은 <빈녀>에서 나타난 매신 행위를 사신시로 포섭함으로써, 현세구복담을 불교적 자장 안으로 견인하려고 했음을 알 수 있다.
    선(善)의 추구와 현세구복 사이에서의 갈등, 그 길항작용 속에서 <빈녀>라는 효행담이 위치하고 있다. <빈녀>는 효행담을 매개로 불교와 현세구복의 논리가 결합되는 양상을 확인시켜주고 있으며, 불교가 현세의 결핍까지도 해소시켜줄 수 있다는 종교적 가능성을 보여주는 서사로 『삼국유사』에 수록되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nsiders a specific motif, “selling oneself”, and its Buddhist acception in Binnyeo-yangmo[貧女養母](Binnyeo ‘blow’) a part of Samgungnyusa[三國遺事]. In Binnyeo, an unnamed girl born into a poor family sells herself to support her mother. This can be read as a typical Korean story about filial piety with sacrifice, but the problem is the intention of the Buddhist monk, Ilyeon[一然], the writer and editor of Samgungnyusa, since it seems this story is not closely related to Buddhist teachings.
    In the last part of Binnyeo, the poor girl finally builds a Buddhist temple named Yangjonsa[兩尊寺] on the huge property given to her by Queen Jinseong[眞聖] of Silla[新羅] for her sacrifice on behalf of her mother. At this point, filial piety with sacrifice is juxtaposed with Buddhist teachings because Ilyeon tried to induce the specific motif, “selling oneself”, in Buddhist sacrifice as an alms-giving practice. The motif “selling oneself for one’s parents” can now be read as a temple offering.
    However, Binnyeo is not just a Buddhist narrative proving that Buddhism also contains the fundamental human virtue, filial piety. Ilyeon arranged the existing narrative found in Samguksagi[三國史記] entitled Hyonyeojieun[孝女知恩]. He intended to use and add a story about the origin of the temple at the end of Binnyeo. To investigate why Ilyeon placed Binnyeo in Samgungnyusa, we have to treat Binnyeo not as a story about filial piety but as a famous story that describes a person’s rise to wealth and honor in a day. When we erase the last part that Ilyeon inserted, Binnyeo is the success story of an unnamed poor girl.
    Binnyeo is not a simple text though its narrative is concise and clear. The narrative consists of two parts:the success story filial piety, and the origin story of the temple. These two parts coincide by replacing sacrificial behavior for parents with sacrifice for Buddhist teachings. Consequently, the narrative can not only be read as a Buddhist text but also contains the power of luck and honor in a day. In Buddhism, every good fortune is revealed in the next life, not in this one, so the common people of Silla who were mostly poor could not easily access Buddhist teachings. However, it is possible in Binnyeo that Buddhism is powerfully persuasive for the contemporary people of Silla(or Koryeo[高麗]) through the Buddhist doctrine of “time” based on samsara, karma, the theory of the afterlife, and so on.
    We can see the other aspect of Binnyeo and Ilyeon’s intention. Binnyeo shows the new ritual possibility of Buddhism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is world as well as the next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