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넷(D. C. Dennett)에 있어서 의식의 발생과 진화에 관하여 (On the Genesis and Evolution of the Human Mind in D. C. Dennett's Kinds of mind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08.12
31P 미리보기
데넷(D. C. Dennett)에 있어서 의식의 발생과 진화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50호 / 121 ~ 151페이지
    · 저자명 : 송영진

    초록

    정신과 물질에 대한 정의는 데카르트에게서 연장과 비연장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데카르트의 정의에 있어서 연장과 비연장은 공간성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그런데 베르그송에 따르면, 이러한 정신의 비연장성은 정신의 자발성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이 자발성은 동질적인 공간으로 환원될 수 없는 질로서 분화하는 시간성을 본질로 한다. 더 나아가 시간과 공간은 뉴턴에서처럼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의존적이고 보완적이며 상대적이라는 것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의해 밝혀졌다. 그 결과 현대에서 심신 관계의 문제는 감관-지각을 인식의 토대로 간주하는 과학에 의해 시공 4차원의 변증법에 따라 유물론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현대에서 마음에 대한 탐구는 인간의 사유 기능을 모방한 컴퓨터에 유비되어 탐구되고 있다. 왜냐하면 서양에서는 파르메니데스 이후 마음을 사유와 동일한(일치한) 것으로 간주하고 사유란 언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행위라고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유와 마음을 동일시하는 사고방식은 원자론적인 환원론적 사고와 이데아론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원자론적인 환원론적 사고나 이데아론은 시간에 대한 통찰을 결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설령 자연 과학이 마음을 시간의 관점에서 즉 진화론적으로 설명한다 해도, 마음의 정의와 존재 문제를 물질이나 생명의 기원에다 미루는 것에 불과하다. 이 논문은 마음의 본질을 사유가 아닌 감각과 시간성에 두는 베르그송의 입장에서 데넷의 『마음의 진화(kind's of mind)』에 나타난 마음의 4가지 진화적 단계의 구분을 인간 지능 발달에 따른 구분에 불과한 것(거짓 문제-해답)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영어초록

    R. Descartes defined the matter as extended in space in contrary to the unextended mind. The criter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ind and the matter was the spacial extension. Here comes to arise the problem of the relation of the matter and the mind. According to H. Bergson, the activity of the human mind and the unextendedness of the mind means the time-potency or the volitional activity of the mind. So, the mind can only be understood in the point of the duration of time which is differentiating as qualities,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equally differentiating space.
    The space and the time can represent separately the matter and the mind which are understood as independent things each other according to I. Newton. But according to the A. Einstein's relativity theory, time and space are related to each other like 4 dimensional space-time. So We can imagine that the mind and body seams to be related as 4 dimensional space-time dialectics. Because the matter seems to act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Newton's rules of movement which are constructed by analysing human reason as space-atom paradigm, while the reason, the core of the mind acts voluntarily in time, but according the rule of contradiction.
    Nowadays, the study of the acting of human mind is compared to computer which is constructed according the analysis of the acts of human thinking through language. So, the problem of the relation of human mind and its body is resolved materially by the material sciences and computer science which studied the act of mind atomically. The identification of the mind and thought with language is resulted in atomic reductionism which neglects the essence of differentiating time. Even if the study of the reductionism of the human mind to the matter or the thought with language is equipped with historical knowledge of time like Ch. Darwin's theory of the evolution of the life in biology, it postpones the solution of the definition of the mind to the origin of the matter or the life. D. C. Dennett's Kind's of mind is the example of this kind of study. In this paper, D. C. Dennett's method of materialistic reductionism of human mind to the robot's man-made intelligence is criticised from the viewpoint of H. Bergson who regard the essence of the mind as time-equipped sensibility, especially D. C. Denett's "the 4 steps of the evolution of the mind" as the steps in the development of human intellig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