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 그 원리상의 난점과 의의에 관한 시론 (Dennett’s Hetero-Phenomenology: An Examination of Its Inherent Difficulty and Significan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 그 원리상의 난점과 의의에 관한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77호 / 25 ~ 50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마음과 인지의 본성에 대한 과학적·철학적 탐구와 관련하여 대니얼 데넷(1942- )이 유물론, 자연주의, 과학주의를 옹호해왔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의 철학에서 상당히 놀랍고 다소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다. 그것은 데넷이 인지의 본성을 해명하는데 있어서 모종의 ‘현상학’을 제안해왔다는 점이다. 그는 고전적인 후설 현상학을 ‘오토 현상학’이라고 칭하고 그것을 맹렬하게 비판하면서, 자신의 현상학을 ‘헤테로 현상학’이라고 이름 짓고 그것이 현대 인지과학과 심리철학의 적실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여기에서 필자는 다음 물음을 제기한다. 마음 연구 일반과 관련하여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은 정확히 무엇인가? 그 현상학의 난점과 의의는 무엇인가? 이 문제에 대하여 필자는 데넷의 헤테로 현상학이 ‘현상’ 개념을 변형함으로써 인지와 마음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지만 그럼에도 그 원리적 변형이 상당히 심하므로 그것이 적절한 형태의 현상학이 되기 위해서는 ‘이입적 환원’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방법적 원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본 논의가 성공적일 경우 우리는 보다 더 확장된 현상학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마음의 본성을 규명하는 데에 이른바 1인칭적인 현상학적 접근과 3인칭적인 과학적 접근을 부분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방법론의 실마리를 낳을 것이다.

    영어초록

    Regarding the scientific and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mind and cognition, it is well-known that Daniel Dennett(1942- ) has defended materialism, naturalism, and scientism. But there is a quite surprising and somewhat unknown fact in his philosophy. It is that Dennett has suggested a certain sort of “phenomenology” in carrying out the research into the nature of cognition. He has dubbed the classical Husserlian phenomenology as “auto phenomenology” and vehemently criticized it. Whereas he calls his own phenomenology as “hetero-phenomenology”, and asserts that it can be the proper method both in the contemporary cognitive sciences and the philosophy of mind. Now I raise the question, exactly what is Dennett’s hetero-phenomenology in the investigation of the mind in general? What could be its inherent significance and difficulty? Concerning these questions, I propose that hetero-phenomenology, by means of modifying the notion of phenomenon, can extend the range of phenomenology, but because it’s modification is quite severe, it still needs a specific methodological principle called the “empathetic reduction”, in order for it to be the proper form of phenomenology. If this inquiry is successful, it will make us have an extended form of phenomenology, and it will bring about an important clue for a consilient method for pinning down the nature of mind in which the first-person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the third-person scientific approach can be partly comb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