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여성의 체지방률에 따른 영양소섭취, 렙틴, 아디포넥틴, 코티졸 및 인슐린농도 (Nutrient Intake, the Concentrations of Leptin, Adiponectin, Cotisol & Insulin by the Body Fat Content of Wome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2.12
10P 미리보기
성인여성의 체지방률에 따른 영양소섭취, 렙틴, 아디포넥틴, 코티졸 및 인슐린농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7권 / 6호 / 714 ~ 723페이지
    · 저자명 : 이순례, 배현숙

    초록

    본 연구는 WHR이 0.85 이상인 성인여성 72명을 대상으로 체지방률에 따라 실험군을 분류하여 영양소 섭취, 혈액 내렙틴, 아디포넥틴, 인슐린농도, 타액내 코티졸, 아밀레이즈농도 및 항산화상태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0.9세이었고, 평균 체지방률은 32.5%로 이들의 체지방률을 기준으로 3분위로 나누어 실험군을 실험 I군(27.5% fat), 실험 II군(32.5% fat), 실험 III군(37.7% fat)으로 분류하였다.
    2)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삼두근 및 장골위 피부의 두겹두께는 III군에서 I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01, p < 0.05). WHR은 실험 II군에서 I군과 III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3) 실험군 간의 영양소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과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및 나트륨의 섭취는 III군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섬유소, 비타민C, 비타민E 및 비타민B1의 섭취는 III군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INQ의 경우 비타민 C만이 III군에서 I군과 II군에서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4) 혈청의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II군에서 219.04 mg/dl 로 III군의 187.52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1).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III군에서 I군과 II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 < 0.005). LDL 콜레스테롤, TG 의 농도, 지질과산화물의 농도인 MDA 농도 및 총항산화능인 TAS농도는 실험군 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혈청의 leptin 농도는 III군에서 16.53 µg/ml으로 I군의 10.07 µg/ml, II군의 12.24 µg/ml 보다 높았다(p < 0.005). 타액의 코티졸 함량에서 II군이 I군과 III군에서 비해 높았다(p < 0.005).
    6) 혈청의 생화학지표와 신체계측, 식이섭취와 혈청지질항산화능의 상관성 분석결과 adiponectin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인 항목으로는 HDL-cholesterol 이었고, 유의한음의 상관성을 보인 항목으로는 LDL-cholesterol 및 TAS 이었다. Insulin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인 항목으로는 WHR과 SFA이었다. Insulin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인항목으로는 cholesterol과 아연섭취량 이었다. Leptin과신체계측의 모든 항목(BMI, LBM, WHR, 체지방함량, 허리둘레, 삼두근, 복부·견갑골 피부두께, 세포내· 외액, 단백질함량, 무기질함량)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음의 상관성을 보인 항목은 HDL-cholesterol이었다. 타액의cortisol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인 항목으로는 WHR, 총cholesterol, LDL-cholesterol, TG, MDA, SFA, MUFA 섭취량이었다. 타액의 amylase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인 항목으로는 에너지섭취, 탄수화물, fat, cholesterol, SFA, MUFA, Fe, Vit.B2, Zn섭취량이었다. 타액의amylase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인 항목으로는 HDLcholesterol 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체지방량 보다는 체지방분포를알 수 있는 WHR이 비만과 관련된 대사질환의 위험성을 평가할 때 의미가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복부비만일수록 코티졸 농도가 높아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고 식사의 질에 있어서도 비타민 C의 INQ가 가장 낮았다. 임상에서 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전략이 비만치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비교적 적은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WHR을복부비만 진단기준으로 평가하였으므로, 향후 실제 내장지방량 측정을 토대로 더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후속연구들이 수행되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intakes, serum hormones (leptin, adiponectin, insulin), salivary cortisol and α-amylase of middle-aged women by the percentage of body fat (% fat). Subjects were assigned to 3 groups by body fat (%) group I (27.5 %), group II (32.5 %), group III (37.7 %). WHR of group II (0.9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group I, III (0.95) (p < 0.05). Nutrient intakes were not different among 3 groups.
    Serum leptin levels of group III (16.53 µg/ml) were higher than in group I (10.07 µg/ml), group II (12.24 µg/ml) (p < 0.05). Salivary cortisol levels of group II (0.39 µg/dl) were higher than in group I (0.17 µg/dl) and group III (0.15 µg/dl) (p < 0.05). Adiponectin concentration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AS (r = −0.29)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 = 0.27). Insulin leve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cholesterol (r = − 0.33), Zn intake (r = −0.3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WHR (r = 0.31). The overall anthropometric indices showed positive relations with leptin levels. Salivary cortisol levels were positively corelated with WHR (r = 0.28), total cholesterol (r = 0.31), MDA (r = 0.29) and intakes of SFA (r = 0.35) and MUFA (r = 0.3). Salivary amylas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nutrient intakes (energy, CHO, fat, cholesterol. Fe, SFA, MUFA, Zn, Na, vitamin B2, r = 0.24-0.5)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 = −0.34).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1) WHR would be a helpful index in the assessment of metabolic risk diseases. 2)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tress exposure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Korean J Community Nutr 17(6) : 714~723, 201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