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폭력의 시대에 맞서는 가족 - 영화 <꼬방동네 사람들>(1982)과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1984)에서 가족의 재현 양상을 중심으로 - (Families in an era of violence - focusing on (1982) and (1984)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12
40P 미리보기
폭력의 시대에 맞서는 가족 - 영화 &lt;꼬방동네 사람들&gt;(1982)과 &lt;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gt;(1984)에서 가족의 재현 양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72권 / 72호 / 47 ~ 86페이지
    · 저자명 : 한영현

    초록

    이 글은 영화 <꼬방동네 사람들>(1981)과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1984)를 분석하되, 가족 서사의 중요한 장치로 대두되는 ‘용서’와 ‘화해’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용서’와 ‘화해’는 1980년대 초반 대중문화로서의 영화에 투영된 전두환 정권의 폭력적인 통치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밝히기 위해서 이 글은 소설 원작과의 비교를 통해 영화 <꼬방동네 사람들>과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가 ‘가족 서사’를 중요한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는 점을 밝힌다. 이 과정에서 소설이 보여 주었던 빈곤층의 현실적 저항의식 및 분단 민족의 전쟁 체험이 가져온 역사적 문제 등이 상당히 희석되고 대신 가족 서사의 내부에서 경제적 주권을 획득한 남성 가부장의 권력 강화와 자본을 획득한 계급의 논리가 크게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족 서사의 변형 속에서 ‘가해’와 ‘피해’의 서사적 전개를 통해 드러나며 이러한 가해와 피해의 구조 안에서 화해와 용서는 피해자인 여성 혹은 빈곤한 가족들에게 일방적으로 요청되고 수용되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이렇듯 섣부른 용서와 화해는 1980년대 초반 사회를 지배하던 통치성 이면에 감춰진 경제 성장과 개발 논리의 강요된 요청이 가져온 부조리를 은폐하고 가족의 앞날을 여는 미래지향적인 것으로 비춰지지만, 실상 민족과 현실의 문제를 간과하고 은폐하는 비가시화된 폭력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movies <People in the slum>(1982) and <The Winter Of The Year Was Warm>(1984). It focuses on the problem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hich are emerging as important devices of narrativ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is that reveals the violent governance of the Chun Doo-Hwan regime projected in movies as popular culture in the early 1980s.
    To clarify this, this article is compared with the original novel, <People in the slum> and <The Winter Of The Year Was Warm> were based on the 'family narrative'. In this process, the realistic sense of resistance of the poor and the war experience of the divided nations, as shown in the novel changed A man whose historical problems have been considerably diluted and instead acquired economic sovereignty within the family narrative.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of the patriarchal reinforcement and the logic of the class that acquired the capital work greatly. This is revealed through the narrative development of 'harm' and 'damage'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family narrative,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within the rescue are unilaterally requested and accepted by the victim woman or the poor family. It appears in the aspect of becoming, Such hasty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ere the rule that ruled society in the early 1980s. Concealing the absurdity brought about by the forced request of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logic hidden behind the violent governance, It is seen as a future-oriented opening the future, but in reality it overlooks and conceals the problems of the people and reality. It is problematic in that it shows violence that has become invi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