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영화에서의 혐오적인 것에 대한 해석 : <비디오드롬>, <크래쉬> 그리고 <엑시스텐즈>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Abject in Films of David Cronenberg : Focusing on Videodrome, Crash and eXistenZ)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06
26P 미리보기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영화에서의 혐오적인 것에 대한 해석 : &lt;비디오드롬&gt;, &lt;크래쉬&gt; 그리고 &lt;엑시스텐즈&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영상학회
    · 수록지 정보 : PREVIEW : 디지털영상학술지 / 18권 / 1호 / 115 ~ 140페이지
    · 저자명 : 정락길

    초록

    이 논문의 주요한 목적은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비디오드롬>, <크래쉬> 그리고 <엑시스텐즈>를 중심으로 몸의 영화적 재현에서 제기되는 고통의 경험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그의 영화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이나 세계는 병리적 상태 속에 놓여있고 몸은 하나의 사물적 대상으로 다루어진다. 피부는 침 혹은 바이러스와 같은 것에 의해 더러워지고, 몸의 내부 속으로 무엇인가가 침입하고, 피부는 절단되어 진다. 또한 이성애적이든 동성애적이든 영화에서 성애화된 방식으로 묘사되는 내밀한 행위로서의 성적인 관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사랑은 낭만적인 환상에서 연민으로 결국에는 혐오의 상태로 전락해 나간다. 논문은 크리스테바의 ‘혐오적인 것’의 개념을 중심으로, 자기애의 위기, 상징적 가치의 붕괴 속에 놓여있는 현대 사회에서 크로넨버그의 영화가 인간성에 대한 역설적 질문을 던지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 논문은 우선 그의 영화적 재현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최면, 환각 그리고 촉각적 침투의 이미지들을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토마스 엘세서(Thomas Elsaesser)가 사용한 ‘생산적 병리학(productive pathologies)’의 개념을 이용해서 그의 영화가 현대 사회에 던지는 정치적 윤리적 의미들을 탐지하고 있다. 그리고 ‘혐오적인 것’이 던지는 카타르시스와 승화의 문제를 검토하면서 크로넨버그의 영화의 중요한 주제를 몸의 궁핍의 문제로 결론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pain and its meaning in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the body, focusing on David Cronenberg's Videodrome, Crash and eXistenZ. The characters and worlds in his films are in a pathological state, and the body is treated as an object. The skin becomes dirty or decomposed by substances such as saliva and viruses, and something is invading the inside of the body. In addition, there is no sexual relationship as an intimate act depicted in a sublimated manner in his films, whether heterosexual or homosexual, and love eventually falls from romantic fantasies to compassion and eventually to a state of disgust. This article focuses on Julia Kristeva’s concept of 'abject', and focuses on the fact that Cronenberg's films raise paradoxical questions about humanity in modern society, which is in a crisis of narcissism and collapse of symbolic values. We first examine images of hypnosis, hallucinations, and tactile penetration that appear in the experience of cinematic representation. And, using the concept of ‘productive pathologies’ used by Thomas Elsaesser, we are detecting the political and ethical implications of his films on modern society. In addition, while examining the catharsis and sublimation problematics of ‘abject’, we conclusively present the important theme of Cronenberg's film as the problematic of bodily depri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PREVIEW : 디지털영상학술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