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중신학의 서구신학 비판에 대한 연구 : 안병무의 민중신학에서 구상된 서구신학 비판의 네 가지 테제를 중심으로 (Eine Studie über die Kritik der Minjungtheolgie an der Westlichen Theologi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1.09
26P 미리보기
민중신학의 서구신학 비판에 대한 연구 : 안병무의 민중신학에서 구상된 서구신학 비판의 네 가지 테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0호 / 107 ~ 132페이지
    · 저자명 : 전철

    초록

    민중신학(Minjung Theology, Minjungtheologie)은 한국의 고유한환경에서 구현된 자생적인 신학의 성과이자 유산이었다. 민중신학은 소위 서구신학의 다양한 방법론적 흐름을 해체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한국이라는 생생한 현실 속에서 구체화 한 고유한 한국적 신학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민중신학은 한국신학이자 철저한 상황신학이다. 그리고 서구신학에 대한 비판을 그의 핵심 동력으로 지탱하는 토착신학이다. 그렇다면 서구신학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민중신학적 해체와 창조적인감수성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뜻하는가? 만약 민중신학이 서구신학을비판했다면 그것은 구체적으로 서구신학의 어떠한 방법론에 대한 비판인가? 그리고 이러한 서구신학의 한계를 극복하려 하였던 민중신학적 대안의 방법론은 얼마나 정당한 전략이었는가?이러한 문제제기를 가지고 여기에서는 민중신학이 서구신학의 방법론적 문제점을 어떻게 직시, 포착, 비판하였는지를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서구신학의 방법론에 대한 민중신학의 독특한 안티테제는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구신학에대한 저항신학의 관점에서 구축된 4가지 테제를 종합적으로 재구성하여 다루고자 한다. 물론 제3세계 신학의 흐름과 해방신학적 해석학은어느 정도 서구신학에 대한 방법론적 비판을 공유한다. 이를 전제로 특히 이 연구는 한국의 민중신학자 심원 안병무(心園安炳茂, 1922. 6.
    23-1996. 10. 19) 의 사상에서 서구신학에 대한 비판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성찰하고자 한다.
    우선 이 연구는 민중신학과 서구신학의 객관적 정의와 내용을 검토하는 작업이 아니라 민중신학의 서구신학에 관한“민중신학적 자화상”을 검토하는 작업임을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다. 실로 서구신학의 범위와 영역은 매우 방대하며 이러한 신학적 흐름을 민중신학과의 관련성속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단선적으로 정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민중신학은 서구신학의 구체적인 요소들과 직접적으로 대면하였기보다는 메타적으로 비평하고 비판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즉 민중신학의 정당성은 서구신학의 요소 안에서 민중신학과의 연관관계를 섬세하게 구축한 점에 있지 않다. 오히려 서구신학의 다양한 흐름과 방법론에대한 민중신학의 메타적 비평(meta-criticism)에 그 정당성과 의미가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서구신학에 대한 외부적 비평은 서구신학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라고 하기보다는 민중신학이라는 내면적 자의식의 반영과 투사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서구신학에 대한 민중신학적 자의식이라는 전제와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다음의 순서를 밟는다. 첫째, 70년대 민중신학의 자리를 검토할 것이다(I I). 둘째, 민중신학에서 바라보는 서구신학의네 가지 테제의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할 것이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1) 주객도식의 사고, (2) 위에서부터 아래로의 사고, (3) 개체주의적 사고, (4) 사변으로서의 학문이다(I I I). 마지막으로, 서구신학적 방법론에대한 민중신학의 비판적 테제에 대한 의미를 조명할 것이다(I V). 특히이 연구는 성서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민중신학적 작업을 수행한 성서신학자 안병무의 사유를 방법론적인 관점에서 검토함으로 민중신학이서구신학의 방법론에 대한 어떠한 자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비판하는지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어초록

    Der starke politische, wirtschaftliche und soziale Wandel, der während der 1970er Jahren in Korea stattgefunden hat, macht in der protestantischen Theologie Koreas eine noch stärkere theologische Wahrnehmung Leidens notwendig. Minjungtheologie ist eine eigene Antwort auf diese gesellschaftlich-theologische Herausforderung.
    Der Ausdruck Minjungtheologie ist in den 1970er Jahren von südkoreanishen Theologieprofessoren geprägt worden. Professor Ahn Byung-Mu ist einer der wichtigen Minjungtheologe.
    Die Wirklichkeit ist nach Ahn Byung-Mu grundsätzlich durch Leiden des Lebens gekennzeichnet. In diesem Sinne geht Minjungtheologie nicht um theologia gratia, sondern um theologia crucis.
    Ahn behauptet, dass die klassische theologische Vorstellung von Gott und die Gesellschaft sich in der Wirklichkeit nicht mehr getrennt beschreiben lassen. Daher wendet sich Whitehead gegen die statische Vorstellung von Gott und Gesellschaft in der klassischen theologischen Konzeption.
    Nach Ahn Byung-Mus Ansicht liegt die große Differenz der Methode zwischen westlicher Theologie und Minjung-Theologie in ihrem unterschiedlichen Verstandnis von der Aufgabe der Theologie. Seine Kritik an die Methode der westlichen Theologie zielt daher auf die wahre Suche nach Bedeutung und Ursprung der Theologie.
    Aus dieser methodologischen Originalit?t der Minjungtheologie hat sie in dem westlichen theologischen Bereich ein breites Echo gefunden. In diesem Sinne können wir fragen, was eigene Kritik an den westlichen Theologie ist und was eigene Methode der Minjungtheologie ist. Ahn Byung-Mus Kritik an der westlichen Theologie kann man bezüglich der Methode in vier Punkte einteilen: 1. Subject-Object Thinking; 2. Top-Down Thinking; 3. Individualis-t i c Thinking; 4. Speculative Theory. Minjungtheologie schlägt ein neues Paradigma des “Minjung” auf der Basis dieser Kritik vor.
    Das Ziel dieses Aufsatzes besteht darin, die minjungtheologische Kritik an der westliche Theologie im Rahmen der Methologie zu untersuchen. Dieser Aufsatz will dadurch zeigen, dass diese Kritik sowohl für eine neue minjungtheologische Orientiung als auch konkret für eine neue theologische Überlegung des 21. Jahrhundertes gi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