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넨베르크의 장으로서 하나님 프로그램에서 하나님의 본질과 특성의 라카토슈적 연구 (The Lakatosian Research for one God’s Essence and Attributes in Pannenberg’s God as a Field Program)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1.12
33P 미리보기
판넨베르크의 장으로서 하나님 프로그램에서 하나님의 본질과 특성의 라카토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1호 / 317 ~ 349페이지
    · 저자명 : 최민옥

    초록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는 신학을‘하나님의과학’(The science of God)으로 규정하고, 스스로 가설적으로 기능하고더불어 그렇게 검증받아야 하는 하나님의 이해를 진술한다. 신론은 원래 좁은 의미의 신학이다. 신론의 의미를 확대하여 신학 전반을 구성하는 만큼, 하나님 개념의 설정은 어느 신학 주제보다 중요하고 조직신학 전반의 특징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판넨베르크는‘하나님은 영이시니’(요 4:24)에 대한 이해에서,‘영으로서 하나님’에 대한 개념의 형성사를 통하여 성서의 하나님의 진술에서 신인동형동성설에서 벗어나야 하는 당면 과제와 삼위와의 관계와신학 전체를 아우르는 한 분 하나님의 본질과 특성의 조직적 진술에,하나님의 행위로 드러나는‘힘’개념을 접점으로 하여 물리학의‘힘의장’(A Field of Force) 개념을 획기적으로 도입한다. 판넨베르크는 한분 하나님에 대하여 본질상‘장으로서 영’으로 상정하고, 하나님의 무한성으로 드러나는 특성들에 대하여 장 개념을 기초로 전개한다. 이렇게‘영으로서 하나님’에 대하여‘장으로서 하나님’의 상정은 판네베르크의 신학 체계에서 최상위 수준에 놓이는 만큼 그의 신학 전반의 특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필자는, 임레 라카토슈(Imre Lakatos)가 제창한“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의 방법론”(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mmes)-임의의 연구 프로그램의 명칭을 부여하는 중핵과 그것을 보완하고 발전시키는 보호대 곧 보조가설대의 관계 구조로 구성되는-을 따라, 판넨베르크의 신학에 대하여“장으로서 하나님 프로그램”으로 명명한다.
    판넨베르크의‘장으로서 하나님’진술이 하나님 가설을 실증해내는토대로서 작용하는가? 이 물음은‘신학에 장을 수용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하여 판넨베르크적으로 표현해 본 것이다. 이 논의는 판넨베르크가 물리학의 주요 개념인 장(Field)으로 한 분 하나님을 진술하는 만큼, 그의 신학에 대한 어느 연구보다 뜨거울 수밖에 없다. 장으로서 하나님 진술의 타당성은 다음의 신학적 과제를 수행하는가에 달려 있다;1. 신인동형동성설의 비판 하에서 하나님의 무한한 영적 본질이라는 표상이 어떤 의미에서 긍정될 수 있는가? 2. 성부, 성자, 성령의 삼중성이 가능하도록 하나님의 단일성은 어떻게 생각되어져야만 하는가? 3. 삼위 하나님의 단일성이 하나님의 본질과 특성의 관계에도 적용되는가? 이러한 신학적 과제 수행은 장으로서 하나님의 본질과 특성론이서로 규정하고 보강하고 확증하는 가설 관계 구조로 드러나야 하고, 나아가 다른 신학 주제들과의 가설 관계 구조로 확대성을 내포해야 한다.
    이에 본고는 판넨베르크의 장으로서 하나님 프로그램에 대하여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할 연구로, 그것의 핵에 위치하는 하나님의 본질과특성의 진술에 장을 수용함에 대한 타당성을 라카토슈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 과정은 판넨베르크의 신학을(필자가 구체적으로)“장으로서 하나님 프로그램”으로 명명함에 대하여 첫 번째 타당성 검토가 될것이다.
    판넨베르크는 자신의 과학철학적 사고 형성 시기에 대하여, 토마스쿤(Thomas Kuhn)의 후기를 의식하면서 신학의 윤곽을 구성했다고 밝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신학 전반의 체계적 통합적 구성특성을 근거로, 헤프너와 머피 등이 그의 신학에 대하여 행하는 라카토슈적 연구를 거절하지 않는다. 필립 헤프너(Philip Hefner)나 낸시 머피(Nancy Murphy)는 판넨베르크의 신학을 라카토슈적 방법론으로 연구하면서‘판넨베르크의(신학) 프로그램’내지 가끔‘판넨베르크의 프로젝트’라는 명칭으로 그들의 연구 대상을 지칭했다. 그들 후에 그리고 그들 외에는 판넨베르크에 대한 연구자들이 자신들이 판넨베르크에대하여 프로그램적으로 고려하는지에 관계없이 그 명명을 종종 답습할뿐이다. 이에 본고에서 판넨베르크 신학에 대하여 아직은 생소한 라카토슈적 접근의 선행 연구자료로 헤프너와 머피를 소개하는 것은 의미있다 할 수 있겠다.
    판넨베르크는 신학 프로그램의 중심에 하나님 사상을 정치하고 물리학의 장 개념을 도입하여 장으로서 하나님 진술에 심혈을 기울인다. 따라서 그의 신학 프로그램에서 신론을 중심으로 여타의 신학주제들의 조직적 연결성이 고려되지 않은 그간의 연구들은 단순히 전통의 신학 주제들이 그의 신학 안에 존재하는지 확인만 하는 피상적인 연구로 흐르거나, 그의 신학적 공적을 필요이상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럼에도 그의 신학의 특성대로 단일성, 통합성, 체계성을 구조적으로 드러내거나 그의 신학 프로그램의 핵에 위치하는 신론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 그리고/또는‘장’을 비롯한 자연과학 개념의 신학적 수용에 대하여자연과학 개념으로부터 신학적 결론까지 이르는 과정으로 접근하는 연구는 거의 드물다. 더욱이 그의 신학방법 곧 신학- 철학-과학의 변증법적 순환에 준하는 과학철학적 접근은 거의 생소한 실정이다.
    본고는 판넨베르크의 장의 신학에서 과학철학의‘프로그램’과 조직신학의 구조적 특성의 상관성에 대한 최소한의 논의로서, 신학을 조직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또한 그것의 중심을 차지하는 하나님 사상을 완성하기 위해 기울인 그의 심도 깊은 노력에 대하여 보다 시급하고 적절한 연구가 될 것이다. 그래서 전통적인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결과들에 대하여 하나의 배경과 토대로 작용할 것이다. 나아가 이 시대의 하나님 진술에 요구되는 간학문성과 그것에 걸맞는 연구방법을 제시할것으로 감히 기대한다

    영어초록

    I name Wolfhart Pannenberg’s theology to “God as a field program of Pannenberg” on the basis of central concept of his theology, following the nomenclature of Imre Lakatos’ Scientific research programs methodology. And as first research about that, I investigate the propriety about his essence and attributes of God as a field in Lakatosian method.
    Pannenberg develops the doctrine of God with the dimension which accomplishes the following theological subjects; 1. Whether a description like infinite spiritual essence of God is appropriate, and if it is, in what sense, under criticism of the anthropomorphism about Christian ideas of God? 2. How are we to think of the unity of the divine essence if room is to be left for the trinity of Father, Son, and Spirit? 3. Does the unity of the trinitarian God apply also to the relation of the essence to the attributes?The propriety of Pannenberg’s God as a field statement is depend on whether through field concept one God’s essence and attributes are related each other in a hypothesis structure and accomplish the subject of doctrine of God. Further it will be able to secure the magnification possibility with his organized theology whole from it.
    I diagram the relationship of essence and quality of the God in Pannenberg’s God as a field program to Lakatosian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of a hard core and auxiliary hypotheses, adopting idea of the diagram of Nancy Murphy. Pannenberg assumes one God’s essence to ‘Spirit as a field’ in the hard core part of his program,concerning with interpretation of John’s “God is spirit”(John 4:24).
    Wolfhart Pannenberg accommodate the field of physics in order to accomplish the theology subject which we affirm infinite spiritual essence of God under criticism of the anthropomorphism. His God statement, ‘Spirit as a field’, secures the trinity of Father, Son, and Spirit and the unity of their simultaneously. Also it embodies infinite spiritual essence of God which escapes anthropomorphism. That is corroborated with the hypothetic relationship structure of a progressive scientific research program which is inside of his doctrine of God and also extends throughout his systematic from it.
    Pannenberg’s accommodating a field concept for statement of essence and attributes of one God in his God as a field program,though it is unsatisfied for his approach to and on the basis of the scientific history which is already put in transfiguration phase of a field concept rather than his active approach to and apprehension of physical concept which is its original position, secures theological propriety, on the point of his accomplishment the subject which himself sets commonly in doctrine of God and in the systematic theology whole. And also, my naming Wolfhart Pannenberg’s theology to “God as a field program of Pannenberg” is adequate.
    As this research exposes both a accomplishment the theological subject and a structural unity-or integrity or system-, reveals the appropriate theological method in this age, equivalent to the dialectical circulation of theology-philosophy-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