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북 토속민요 <그네노래>의 연행문화와 음악적 연구-현지 조사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hungbuk Folk Song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4.08
35P 미리보기
충북 토속민요 &lt;그네노래&gt;의 연행문화와 음악적 연구-현지 조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41권 / 2호 / 203 ~ 237페이지
    · 저자명 : 조순현

    초록

    <그네노래>는 단오 날 그네를 뛰면서 부르던 노래이다. 충북지역에서 불리던 <그네노래>가 『충북민요집』에 세 곡이 소개 되었고 중국 영변 조선족 자치주 도문시 양수진 정암촌 이후 정암촌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주민들이 <그네노래>를 기억하고 있었으며 충북의 각 지방에서도 <그네노래>를 부르고 있다. 그러나 <그네노래>에 대한 음악적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충북지역의 <그네노래>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충북지역 <그네노래> 7곡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그동안 필자가 조사한 자료를 살펴봄으로써 충북<그네노래>의 지역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네는 주로 마을에 있는 정자나무나, 앞산 또는 뒷산에 있는 나무에 맸으며 그넷줄은 짚을 굵고 단단하게 꼬아서 만들기도 하고 삼줄을 꼬아서 만들기도 했다. 줄은 고목의 가로로 뻗은 큰 나뭇가지에 매거나 키가 비슷한 나뭇가지에 가로로 나뭇가지를 얹어놓고 매기도 하고, 기둥 두개를 높이 세우고 그 위에 가로 댄 나무에 줄을 맸다. 그네뛰기는 혼자 뛰기도 하고 두 사람이 같이 뛰기도 했다. ‘혼자뛰기’는 처음에 땅에서 도움질을 하며 앞으로 나아가다가 그네에 올라타며 구름동작을 하기도 하고 그넷줄에 올라서 있으면 다른 사람이 줄을 밀어주기도 했다. 충북지역의 그네뛰기는 남녀가 같이 즐겼음을 밝혔다. 가창방식은 독창형식으로 부르고 있으며 노랫말은 그네 줄이 끊어지면 님에 대한 정이 떨어질까 두려워하는 내용이 특징적이다. 음구성은 대부분 (솔,라,도,레,미)이고 <도>음과 <솔>으로 종지하는 경토리로 부르고 있다. 시김새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동도종지형태가 많이 나타나는 음폭은 주로 1옥타브 이상으로 넓은 음역으로 부르며 박자구조는 불규칙한 장단에 시김새가 적게 나타나고 있다. 1930년대 이전에 즐겼던 그네뛰기를 하면서 불렀던 <그네노래>가 충북지역에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Based on five swing jump(Geunae) songs transmitted in Chungbuk and pre 1930s Chungbuk folk songs studied in Jeongam Village, Yanbian, which are judged to be well preserved, the musical features and aspects of passing down Chungbuk swing songs have been examined.
    As a result, in Chungbuk, people enjoyed playing on the swings around Dano, which falls on the 5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lunar Korean calendar. Unlike other provinces, men also enjoyed it.
    A swing was usually hung on a tree covered by shade or nearby in the hills of a village, and its rope was made by twisting pieces of straw or flax, making it strong and hard.
    The rope was tied to either the trunk or a tree with the assistance of two columns. There are two types of swings, swinging along(sitting in a swing, standing in a swing) and two persons’ swinging together. To swing alone, one must move forward from the ground, jumping onto the swing and another person sometimes can push them.
    The way of singing the Swing Jump songs of Chungbuk including Jeongam Village, is that one person sings a song. Since the song is sung by non-professionals, the lyrics and melodies are a bit different across regions. In Jincheon, the ending melody is a mountain type that starts with low sounds, gradually getting higher, then returning to lower sounds. Okcheon’s song is a rising type that starts with low sounds and gradually getting higher. A swing jump song with a horizontal type with an ending melody that starts and ends with the same sound is found in Jechoen, Eumseong, and Boeun. In terms of the ending type, the DongdoJongji ending with the same sound is mostly found in Jechoen, Eumseong, and Boeun including Jeongam Village. The Hagangjongji ending with the higher to the lower sound is found in Jincheon. The Sanghaeongjongji ending with the lower to the higher sound is found in Okcheon.
    The melody of the swing jump song of Chunbuk is similar to those in Seoul. It is shown that the melody popular in Seoul has been passed down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or Japanese Colonialization period and the swing jump song was sung with lyrics suitable for Chungbuk soul. For the musical notes used in the swing jump songs of Chungbuk, there are (Sol, La, Do, Re, Mi) sounds and the Gyeongtori ending with Do and Sol sounds are also found. The tempo is set by singing irregularly between 5, 8, 4, and 11 tempo. The swing jump songs of Chungbuk have been passed down as the Gyeongtori based on (Mi, La, Do') sounds consisting of (Sol, La, Do, Re, Mi). Also, pre 1930’s Swing jump songs from Jeongam Village are handed down to most Chungbuk regions around Cheong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후